전북도·시, 정부에 요청키로
“조선소 폐쇄 이어 벼랑 끝
근로자 고용안정 등 요구”
정치권도 대책 촉구 나서
인천시, 부평공장 파장 촉각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결정에 따라 지역경제 붕괴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전북도와 군산시가 군산을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정부에 신청키로 했다. 한국GM 부평공장이 있는 인천시도 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후속 파장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전북도는 21∼22일 송하진 도지사가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만나 ‘군산 고용재난 지역·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 등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송 지사는 지난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에 이어 GM 군산공장의 폐쇄 결정으로 지역경제가 벼랑 끝에 놓이게 됐다며 한국GM 정상화 방안 마련 때 군산공장을 포함시키고 협력업체와 근로자의 경영·고용 안정 등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송 지사는 또 일자리 긴급 보완을 위한 자동차 연관산업 지원과 특별교부세 지원도 요구하기로 했다.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등으로 지정되면 군산공장 협력업체와 근로자에게 단기 경영과 세제 지원, 사업장 사업다각화를 위한 금융 지원 등이 이뤄진다. 2009년 쌍용자동차 정리해고 사태 때 고용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충남 평택시에는 1109억원이, 2013년에는 중소 조선소 연쇄 파업 사태 당시 경남 통영시에는 169억원이 지원된 바 있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GM 군산공장이 폐쇄되면 직원과 협력업체 근로자 1만여명이 일자리를 잃는 것은 물론 부동산 시장 침체, 지역상권 붕괴 등 경기침체 도미노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조만간 긴급 당정협의를 열고 GM 군산공장 폐쇄와 더불어 전면 철수에 대비한 대응책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GM 군산공장폐쇄 특별대책위원장은 이날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군산은 IMF 수준에 이르렀다”며 “군산지역 자동차 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동신 군산시장과 박정희 군산시의회 의장, 김동수 군산상공회의소 회장도 공동 성명을 내고 “한국GM의 일방적인 군산공장 폐쇄 결정은 20여년간 GM을 가족처럼 여기며 전폭적인 지지와 애정을 쏟아 부었던 군산시민에게 비수를 꽂는 기만행위”라며 “군산공장 폐쇄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인천시는 한국GM 부평공장 부품협력업체 회원사 사장들과 도시락회의를 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유정복 시장은 “중앙부처 및 GM 경영진과 협력해 경영안정화를 도모하겠다”며 “노조파업 움직임에 대해서도 지역 국회의원 및 인천시의원들과 협력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GM 부평공장에는 1만1000여명의 근로자들이 일하고 있다.
군산·인천=김용권 정창교 기자
ygkim@kmib.co.kr
GM 비상… “군산, 위기 대응 특별지역 지정을”
입력 2018-02-20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