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 톡!] 한기총, 반기독정서 팽배한데 자리다툼에만 몰두

입력 2018-02-19 00:01
지덕 한국기독교총연합회 전 대표회장이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연합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기총 대표회장 선거 절차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오는 27일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 선거를 앞두고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기총 선거는 지난달 30일 예정돼 있었습니다. 그러나 전광훈 청교도영성훈련원장이 제출한 ‘대표회장 선거 실시금지 가처분 신청’이 서울중앙지법에서 인용되면서 갑자기 연기됐습니다. 한기총 총대들은 부랴부랴 김창수 목사를 임시 대표회장에 선임하고 1개월 후 선거를 치르기로 하고 정회했습니다.

그런데 선거를 2주 앞두고 또다시 돌발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지난 14일 대표회장을 지낸 7명의 증경 대표회장들이 ‘최성규 선거관리위원장 체제 아래서 선거를 치를 수 없다’며 문제를 제기한 것입니다. 이들은 법원에 선거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출한다고 합니다.

이 같은 파행의 책임은 선관위에 있습니다. 선관위는 선거관리규정을 엄격히 적용해 전 원장의 입후보를 막았습니다. 반면 ‘만국통상법 상 6개월 전 서류는 유효하다’며 엄기호 전 대표회장이 예전에 제출했던 교단추천서를 등록서류로 인정해 줬습니다.

대다수 총대들은 선관위원장이 선거파행의 책임을 지고 사퇴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임시 대표회장은 최 목사를 선관위원장에 다시 앉혔습니다. 그리고 엄 전 대표회장을 후보로 받아들였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전 원장은 ‘선거자체가 불공정하다’며 입후보도 하지않고 소송전에 뛰어들었습니다. 김노아씨도 ‘이미 탈락한 엄 전 대표회장은 후보 자격이 없다’며 소송을 제기할 태세입니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대표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소송이 불가피한 상황을 만든 것입니다.

현장 교회는 이단의 공격과 반기독교 정서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기총은 대표회장 자리 차지하기에만 정신이 팔려있습니다.

최선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조금 늦더라도 공정한 인사를 선관위원장에 세우는 것입니다. 그리고 정관과 선거관리규정에 따라 소송 가능성을 모두 제거한 뒤 한국교회 공적 관심사에 대처할만한 대표자를 선출하는 겁니다.

만약 한기총이 지금처럼 자리다툼에만 몰입하면 어떻게 될까요. 한국교회 앞에 존재 이유를 해명해야 하는 난처한 상황을 맞게 될 것입니다.

글·사진=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