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 놓고 한·미 균열 우려
3월 말쯤 일정 공개 이어
北 도발 땐 대화 동력 약화
남북 대화 국면은 한·미 연합 군사훈련이 진행되는 4월 초쯤 최대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북한은 관영 매체를 동원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침략전쟁 연습’으로 규정하며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3월 말쯤 훈련 일정이 공개되면 북한이 이를 문제삼아 남북 대화 보이콧을 하거나 저강도 도발을 하는 시나리오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군 소식통은 11일 “조율해야 할 요소들이 남아 있지만 한·미 연합 군사훈련의 큰 줄기는 이미 잡혀 있다”며 “훈련 일정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훈련에 임박해서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이번 훈련의 규모와 기간도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은 합동참모본부를 중심으로 훈련을 준비하고 있다.
한·미 연합 군사훈련은 4월 1일 전후로 시작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북한이 이를 빌미로 우리와 미국을 겨냥해 위협적 발언을 하거나 저강도 도발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북한은 지난해 키리졸브(KR) 연습을 1주일 앞두고 스커드 개량형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4발을 동해로 발사했다.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놓고 한·미 군 당국 간 균열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다만 군 관계자는 “북한 눈치를 보느라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올림픽 이후로 조정한 것은 아니다”며 “한·미는 유엔 회원국으로서 유엔의 휴전 결의를 준수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11월 유엔총회에서 통과된 휴전결의안은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폐막 이후 7일(3월 25일)까지 일체의 적대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여권 일각에선 초음속 전략폭격기 B-1B 등 미국의 전략자산 한반도 전개가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군 관계자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변한 게 없는데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를 축소해야 할 이유가 없다”면서 조정 가능성을 일축했다. 미국은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본토에 있던 전략폭격기 B-2 3대와 B-52 6대를 괌에 전진 배치한 바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남북 ‘평창대화’ 모멘텀, 4월초 한·미 연합 훈련이 고비
입력 2018-02-12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