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새벽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4.6의 지진에 대한 대응에 정부가 또 심각한 허점을 노출했다. 지진이 최초 관측된 게 오전 5시3분3초였는데 긴급재난문자가 전송된 시간은 5시10분이었다. 지진은 예고 없이 다가와 순식간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신속한 상황 전파가 중요하다는 건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도 7분이 지나서야 문자가 발송됐다니 어처구니가 없다. 집이 흔들리는 진동에 깨어난 주민들은 한동안 영문을 몰라 불안에 떨어야 했다.
정부가 2016년 11월 긴급재난문자 발송 시스템을 기상청으로 일원화했지만 여전히 조기경보 시스템에 문제가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기상청은 시스템에 오류가 있었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해 더 이상 이런 오류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번에는 인적·물적 피해가 크지 않았지만 최근 강진과 잇따른 여진은 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준다. 2016년 9월 12일 경주 지진(규모 5.8)의 여진은 규모 2.0 이상만도 600회가 넘었고, 지난해 11월 15일 포항 지진(규모 5.4)의 여진은 90회가 넘는다.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겠다.
정부는 경주 지진 이후 범정부 차원의 지진방재 종합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 내진 설계 의무대상을 2층 이상 또는 연면적 200㎡ 이상 신규 건축물과 모든 주택으로 확대했다. 기존 공공시설물의 내진율을 2020년까지 54%로 끌어올리고 공항·철도 등 주요 SOC의 내진보강도 2019년까지 조기 완료하겠다고 했다. 지진에 취약한 단층 연구를 강화하고 지진대피소도 확충할 방침이다. 지진방재 인프라 구축에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지만 이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려가야 한다. 지진 대피 훈련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국민들이 행동요령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설] 여전히 구멍 뚫린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입력 2018-02-11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