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대연정 타결 메르켈 ‘기사회생’

입력 2018-02-07 21:51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이끄는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과 사회민주당(SPD)의 대연정 협상이 7일(현지시간) 타결됐다. 연정 성사로 메르켈 총리는 우여곡절 끝에 4번째 연임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

로이터통신과 슈피겔 등은 양측이 이날 최종 입장을 정리해 ‘원칙적 합의’에 이르렀다고 보도했다. 몇몇 세부사항에 대한 조율이 마무리되는 대로 양측이 최종 합의안을 작성하면 사민당은 이를 일반 당원 46만여명을 대상으로 투표에 부치게 된다. 우편투표로 진행되는 찬반 확인 절차는 몇 주간 진행될 예정이다.

양측은 24시간 넘게 진행된 철야 협상에서 내각 배정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는 데 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는 SPD가 연립 내각에서 외교와 금융, 노동 부처를 맡기로 했다고 전했다. 일간 빌트는 “재무장관과 외교장관, 노동장관 모두 SPD가 맡게 됐고, 호르스트 제호퍼 CSU 총재가 내무장관을 맡을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지지부진한 협상에 당 지지율마저 계속 하락해 온 CDU 측에서 적지 않은 양보를 감수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메르켈 총리와 SPD는 지난해 11월부터 연정 협상을 벌여 왔다. CDU·CSU 연합은 지난해 9월 총선에서 1위를 차지하긴 했으나 4년 전보다 8% 포인트 떨어진 33.5%를 득표하는 데 그쳤고 의석도 65석이나 줄었다. 이에 신생 친기업 자유민주당과 좌파 녹색당을 대상으로 이른바 ‘자메이카 연정’을 시도했으나 무산됐고, 기존 대연정 파트너인 SPD에 다시 손을 내밀 수밖에 없었다.

역시 직전 총선에 비해 의석이 40석이나 줄어든 SPD는 집권당과의 대연정이 지지층을 이탈시켰다고 판단, 총선 이후 연정에 불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정부 참여보다는 새로운 당의 비전을 찾아야 한다는 젊은 당원들의 반발이 거셌다. 하지만 메르켈 총리의 간곡한 설득에 더해 새 정부 구성 지연에 대한 비판 여론이 SPD에도 향하자 연정 복귀를 결정했다.

양측은 지난달 12일 예비협상을 타결시켰다. 최대 난제였던 해외 난민가족 수용과 관련해서는 매달 1000명의 상한선을 두기로 합의했다. 난민 유입 상한선도 연간 18만명에서 22만명 정도로 제한하는 등 절충안을 마련했다. SPD는 이어 지난달 21일에 특별 전당대회를 열어 합의안을 추인하고, 본협상을 진행해 왔다.

정건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