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빚고 있는 다이소가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약속했다.
다이소는 7일 문구소매업으로 편입되는 데 대해 “상생협력 차원에서 수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문구점들은 다이소가 골목상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다이소를 중소기업 적합업종인 문구소매업에 편입해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정부는 해당 안을 검토 중이다.
다이소는 동반성장위원회, 전국학용문구협동조합 등과 구체적인 협의를 통해 세부적인 상생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다이소는 또 신규 매장을 낼 때 전통시장과 상권 영향력 등을 고려해 자발적으로 출점을 제한하거나 꼭 출점해야 할 경우 전통시장과 상생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다이소 관계자는 “다이소의 450여개 가맹점도 소상공인이 운영하고 있어 가맹점주의 의사에 반하는 문구류나 식품 취급 제한을 강제하기는 어려움이 있다”며 “가맹점주, 주변 상권과 상생하는 방안을 계속 찾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이소는 올해 3000여명을 신규 채용하는 등 일자리 확대를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채용한 1700여명에서 1300여명 더 늘어난 규모다. 다이소는 국내 중소협력업체 200개사를 대상으로 협력사의 금융비용을 절감하고 현금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4400억원 규모의 상생결제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다이소 관계자는 “다이소의 성장은 혼자 이뤄낸 것이 아니라 570여개 국내 협력업체와 450여 가맹점주가 함께 이뤄낸 것”이라며 “국민과 함께 성장해온 생활기업으로서 앞으로도 변함없이 국민 가게로서의 역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다이소 “소상공인과 상생하겠다”
입력 2018-02-07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