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국가기념일 확정에
대구시, 다양한 방안 검토
역사교과서 개정도 추진
‘5·18’ 수록은 대통령 공약
서명운동 등 상당한 진전
대구와 광주가 지역의 민주화 운동 정신을 상징화하기 위해 헌법 전문에 이를 포함시키려고 애쓰고 있다. 대구시는 광주시의 ‘5·18 민주화 운동’ 헌법 전문 포함 추진 운동을 본보기 삼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대구 2·28 민주운동 정신의 헌법 명시를 추진하기로 했다.
7일 대구시에 따르면 정부가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일부 개정안’을 6일 공포함에 따라 우리나라 민주운동의 효시인 2·28민주운동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확정됐다. 2·28 민주운동은 1960년 이승만 독재정권에 저항하기 위해 경북고와 사대부고, 대구고, 대구상고(현 대구상원고), 대구공고, 대구농고(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 경북여고, 대구여고 등 8개 대구지역 고등학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일으킨 우리나라 최초의 학생민주운동이다.
이후 타 도시에서 민주화운동으로 확산돼 3·15의거와 4·19혁명의 기폭제가 된 의미 있는 역사적 사건이다. 하지만 그동안 다른 민주화 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어 대구시와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가 국가기념일 지정을 위해 100만인 서명운동 추진, 국민대토론회 개최 등을 통해 홍보에 나섰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번 국가기념일 지정을 계기로 2·28 민주운동을 헌법 전문에 명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정치권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또 역사교과서 개정도 추진하기로 했는데 국민이 2·28 정신을 알고 계승할 수 있도록 안을 만들어 국사편찬위와 교육부에 제출하는 방법을 고려 중이다.
광주는 대구보다 앞서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광주시민들의 열망이 반영돼 문재인 대통령의 광주 핵심공약에도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이 포함됐고 정부와 여당이 이와 관련된 법안 제정에 나서고 있다. 민중항쟁정신 헌법수록 국민운동 광주본부도 5·18 등 민주항쟁 정신 가치를 헌법 전문에 담는 개헌이 절실하다고 호소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서명 운동을 벌이고 있다. 광주를 시작으로 전국에서 100만 서명 명부를 작성해 국회에 전달할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광주와 달빛동맹으로 맺어진 만큼 장기적으로 2·28 민주운동 정신 헌법 포함을 광주와 연계해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해볼만 하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5·18’ 이어 ‘2·28’도… 지역 민주화운동 헌법 명시 바람
입력 2018-02-08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