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한·미 금리역전 가능성… 한은, 금리인상 앞당기나

입력 2018-02-07 05:05

인상땐 실물경기 침체 우려

국내외 증시 패닉의 원인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간표가 빨라질 가능성이 꼽히면서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국내 증시 폭락을 막기 위해선 외국인 자본을 붙들어야 하는데, 당장 3월부터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되면 자본 유출은 불 보듯 뻔하다.

여기에 하향 안정세를 보이던 원·달러 환율마저 급등하면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 자본이 더 빨리 빠져나갈 수 있다. 지난달 열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자본 유출 우려와 함께 국내 기준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이 제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은 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날보다 3.0원 오른 1091.5원에 마감했다. 지난달 25일 1058.6원까지 떨어졌던 원·달러 환율이 불과 열흘 만에 30원 넘게 급등한 것이다. 국내 경상수지 흑자폭이 이어지며 하향 안정세를 보였던 원·달러 환율인데, 이젠 미국 금리 인상이라는 대외적 요인이 더 강조되면서 달러화 강세로 인한 환율 상승이 시작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출에는 좋지만 외국 자본 유출 우려가 커지는 게 문제다. 지금까지는 한국(연 1.50%)과 미국(연 1.25∼1.50%)의 기준금리가 같았는데, 당장 3월부터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연내 금리 인상 횟수를 4회로 전망하는 투자은행도 늘고 있다. 한·미 간 금리 역전이 일어나도 원·달러 환율이 낮다면 환차익을 기대하는 외국 자본이 국내 주식시장에 남아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하지만 환율마저 급등으로 전환하면 급격한 자본 유출 우려를 피할 수 없고 결국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날 공개된 지난달 한은 금통위 의사록에서도 최소 3인의 금통위원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 유출 우려를 제기했다.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 같았던 한은 기준금리 인상이 상당 부분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이야 경기가 좋아 금리를 올린다지만 우리는 소비가 부진하고 부동산 건설 경기 침체가 심각해 금리 인상이 실물경기 침체의 직격탄으로 기능할 것이란 게 문제”라고 말했다. 한은의 딜레마가 심각한 상황이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