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금리 급등 등으로 촉발된 글로벌 증시 급락 여파로 국내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특히 우리 주식시장은 지난주 후반 이후 큰 폭으로 떨어졌다. 6일 코스피와 코스닥은 그나마 장 초반에 비해 낙폭을 많이 줄였지만 불안감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개미투자자들이 주의해야겠다. 향후 시장 움직임에 대해 부정적 전망을 하는 쪽이 더 힘을 얻는 분위기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동안 국내 증시를 떠받쳤던 풍부한 유동성과 저금리의 매력이 사실상 한계를 드러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이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다.
정부는 글로벌 증시 하락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 선제적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긴요한 시점이다. 금융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비상상황에 대비한 계획을 치밀하게 짜야겠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준비도 서둘러야 한다. 다음 달에는 미국의 기준금리가 우리보다 높아질 것이 확실시된다. 14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우리는 금리를 쉽게 올릴 수 없다. 갈수록 금리 격차가 커지면 한국 경제에 미치는 후폭풍이 확대된다. 당장 외국인 자금 유출이 걱정이다. 지난 1월 말 외환보유액이 3958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초체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으나 낙관할 수만은 없다. 미미한 성장 활력은 늘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급격한 자본 유출에 대비해 외환 안전성을 지켜낼 수 있도록 금융회사의 외화 유동성을 세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북핵 위기 고조 등 지정학적 위험이 재연될 소지가 높다는 점이 우려스럽다. 한반도 디스카운트가 현실화될 것을 예상하는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금융시장 안정책을 마련해야겠다.
[사설] 금융시장 불안 후폭풍 최소화해야
입력 2018-02-06 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