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문제가 국가적 선결과제인 이 시대에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농업·농촌에서 꿈을 일궈가는 젊은 청년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꼬마감자라는 이색 품목을 대량생산해 억대 매출을 올리는 청년이 있고, 물고기 양식과 수경재배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라는 색다른 재배법으로 많은 투자자를 유치하는 젊은이도 있다. 이렇듯 청년들이 농업에 신선한 아이디어를 적용, 경제적으로도 성공할 뿐 아니라 농촌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고 농업·농촌에 희망을 보여주는 사례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농업·농촌에는 젊은이가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40세 미만 농가 경영주는 전체 농가의 1.1%에 지나지 않고 그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농업·농촌에 청년이 부족한 이유는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때문이다. 하지만 더 현실적인 이유는 ‘농업은 힘들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고, 막상 이를 극복하고 영농을 시작하고자 해도 농지와 필요한 자금 등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부모님이 농사를 지으셨다면 보다 쉽게 시작할 수 있겠지만 많은 청년들은 농지 등 영농기반과 창업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정부는 2022년까지 청년 농업인 1만명 육성을 목표로 청년의 영농 진입 애로를 해소하고 청년이 찾아오는 농업·농촌을 만들기 위해 다양하고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우선 올해 1200명의 우수한 청년농업인을 선발하고 매월 최대 100만원의 정착지원금을 최장 3년간 지급한다. 또 농지, 자금, 기술교육 등을 패키지로 지원해 농업에 도전한 청년들이 정착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계획이다.
농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2030청년에게는 농지임대를 최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청년들은 자금이 부족하므로 농지 매입보다는 임대에 중점을 두는 게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농지은행의 농지 비축량을 2022년까지 현재의 3배 수준으로 늘려 나가고 이를 청년에게 우선 임대할 예정이다.
여유자금이 부족해 영농창업이 어렵다는 의견도 많다. 신용도가 낮고 담보력이 부족한 청년들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의지가 있어도 창업자금을 빌리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농업신용보증제도를 개선하고 청년들이 영농창업을 한다면 담보가 부족하더라도 자금을 빌릴 수 있도록 했다.
농업기술 부족도 청년농들의 영농 정착을 어렵게 하는 중요한 문제다. 전문서적을 통해서도 해결되지 않는 현장 문제를 진단하고 처방하기 위해 같은 고민을 했던 선배들의 조언은 큰 도움이 된다. 일선에서는 양액 배합비율과 같은 생육관리 기술에 대한 컨설팅 교육이 인기가 있다. 이에 정부도 1대 1 멘토·멘티 사업을 통해 선도 농업인의 노하우를 청년농들이 전수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청년들이 농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직업으로의 농업도 중요하지만 삶터로서의 농촌 정주 여건도 매우 중요하다. 문화·복지·의료 등 다양한 삶의 요건이 충족돼야 한다. 특히 요즘 젊은이들에게는 이런 요소들이 아주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래서 범정부적으로 살고 싶은 농업·농촌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특히 읍·면·동과 같은 농촌 중심지의 정주 여건 개선에 중점을 두되 이것이 자연부락 같은 농촌 배후 마을까지 전달되는 체계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더해 귀농 주택자금, 농촌주택 개량사업 등에서 청년을 우대해 젊은 농업인이 보다 잘 정착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청년이 영농을 시작한다는 것은 하나의 직업을 가진다는 의미도 있지만 더 나아가 자신의 삶 전체를 농업·농촌과 함께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농업·농촌에서의 삶은 생명을 존중하고 깨끗한 환경과 전통문화를 보존하는 다원적 가치를 몸소 느끼는 삶이 될 것이다. 청년들이 영농창업을 통해서 농업과 농촌에서 일과 삶의 가치를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기고-김현수] 청년이 찾는 농업을 기대하며
입력 2018-02-05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