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과기정통부, 내년까지
세종시 이전… 해경은 인천 환원
‘광화문 집무실’ 경호가 걸림돌
국회 예산 동의 과정도 거쳐야
정부서울청사와 과천청사에 있는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19년 세종시로 이전한다. 행안부가 떠난 정부서울청사를 대통령 집무실로 활용하는 ‘광화문 대통령시대’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일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육성하고 지방분권 및 지역 균형발전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정부세종청사에 두 부처가 입주할 공간이 없어 2021년까지 청사를 신축키로 하고 이전까지는 민간 건물을 임차한다는 계획이다.
해양경찰청은 인천으로 환원된다. 해상 재난 및 서해 치안 수요 등 업무 특수성을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올해 안에 인천 송도에 있는 기존 청사로 옮긴다. 이번 이전 계획으로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2141명이 이동하게 된다. 행안부는 ‘행복도시법’이 정한 이전 절차(공청회, 관계기관 협의 등) 세부 일정을 검토해 이르면 다음 달 이전계획 변경안을 고시할 예정이다.
행안부가 자리하던 정부서울청사 활용을 두고 여러 방안이 나오고 있다.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안은 인근 광화문 KT빌딩에 입주해 있는 정부 위원회들을 옮겨오는 것이다. KT빌딩에는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와 4차산업혁명위원회 등이 입주해 있다. KT빌딩 리모델링이 예정돼 있어 이 시기에 맞춰 이주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광화문 대통령시대’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청와대 집무실을 광화문으로 옮겨 국민과의 소통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와 북악산을 국민을 위한 공간으로 돌려주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광화문대통령시대위원회’를 구성해 관련 방안을 준비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아직 위원회는 꾸려지지 않은 상태다. 가장 큰 걸림돌은 경호 문제다. 정부종합청사는 청와대와 달리 인근에 고층 빌딩이 많고 외벽이 유리로 돼 있어 경호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또 비서실, 경호실 등 함께 옮겨야 하는 기관이 많은 데다 국회 예산 동의도 거쳐야 하는 만큼 이전 작업에 속도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행안부, 서울청사 떠나면… ‘광화문 대통령’ 기대감 커진다
입력 2018-02-0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