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겨울축제인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이 다음 주로 다가왔다. 각국 관계자들의 입국도 본격 시작됐다. 92개국 3000명에 육박하는 선수들이 평창을 찾는다. 역대 최대 규모다. 폐막일인 오는 25일까지 17일 동안 70억 세계인의 이목이 평창에 쏠릴 것이다. 특히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등 남북한이 하나 되어 치르는 올림픽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대한민국의 브랜드를 해외에 알리고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천금 같은 기회이기에 평창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러내는 건 국가적 책무다.
올림픽은 단순한 스포츠 행사를 넘어 다자외교 무대다. 평창올림픽에는 21개국 26명의 정상급 인사가 방문한다. 문재인 대통령도 14개국 정상급 인사와 만난다. 평창을 무대로 활발한 외교전이 전개되는 것이다. 국익 차원에서 정부와 정치권이 힘을 모아야 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여야는 정쟁 중이다. 더불어민주당은 2일 남북 단일팀 구성 등을 비판하는 자유한국당에 ‘전쟁광’ 꼬리표를 붙였다. 한국당은 안보위기론을 고리로 ‘평양올림픽’ 카드를 다시 꺼내들었다. 손님을 불러놓고 잔칫상 앞에서 서로 손가락질하는 행태다.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세계 선수단과 관광객들이 어떻게 볼지 걱정이 앞선다.
지난해 10월 유엔은 평창올림픽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다. 평창올림픽 개막 7일 전부터 패럴림픽 폐막 7일 후까지 전쟁 및 적대 행위를 중단하자는 내용이다. 유엔은 평화를 말하고 있는 반면 우리 정치권은 하찮은 말싸움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정쟁을 중단해야 할 때다. 평창올림픽과 직결된 사안만이라도 대립을 멈춰야 한다.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4당 원내총무의 합의로 휴전을 선언하고, 국회도 2주간 휴회했던 경험이 있다. 평창올림픽 기간 대립을 자제하자는 결의안 채택도 시도해볼 만하다. 여야가 올림픽 기간 동안 성숙한 모습을 보일 때 국민들은 아낌없는 박수를 보낼 것이다.
[사설] 정치권, 평창올림픽 성공 위해 정쟁 중단하라
입력 2018-02-02 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