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대학도 의대처럼 6년제 교육과정이 허용될 전망이다. 2022학년부터 한동안 현행 ‘2+4년제’(학부 2년+약학전공 4년)와 6년제가 병행 운영되다 대부분 6년제로 전환될 것으로 교육부는 예상했다.
교육부는 1일 서울교대 에듀웰센터에서 약대 학제개편 방안에 관한 공청회를 열고 전문가 정책건의안을 공개했다. 교육부는 큰 반발이 없을 경우 전문가 정책건의안을 정부안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2009년 고교 졸업생을 신입생으로 뽑아 4년 가르치던 방식에서 편입생만 뽑는 방식으로 약대 학제를 변경했다. 자연계·이공계 등에서 2년을 수료한 학생이 약대 1학년으로 편입해 4년을 배우는 방식이다. 약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취지였다. 그러나 자연계·이공계 학생들의 이탈이 심화하고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PEET) 사교육비가 과도하게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했다.
교육부는 의학계 약학계 정부 관계자 등으로 정책자문단을 꾸리고 개편 방안을 논의했다. 정책자문위는 “현행 2+4년제와 통합 6년제를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게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교육부는 35개 약대 중 대다수가 6년제를 희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 6년제를 택하면 2개 학년 학생이 늘면서 정원이 50% 많아진다. 대학들은 다른 학과 정원을 줄여 약대 정원으로 흡수하거나, 정원이 늘어나는 만큼 교사·교지·교원·수익용 기본재산 등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투자해야 한다. 교육부는 “여건이 되는 약대부터 통합 6년제로 전환할 것으로 보이므로 당분간 2+4년제와 통합 6년제가 병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약대 학제, 2+4년제·통합6년제 병행하자”
입력 2018-02-01 1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