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한 수사·사법처리 지시
與, 비리 연루 땐 즉각 퇴출
‘원스트라이크 아웃’ 제도화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 방침
이낙연 국무총리가 채용비리를 중대 적폐로 규정하고 철저한 수사와 사법처리를 주문했다. 이 총리는 ‘스펙’을 보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 제도 마련도 거듭 강조했다.
이 총리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채용비리는 청년들의 기대를 배반하고 사회의 신뢰를 훼손한 중대한 적폐”라며 “당국의 철저한 수사와 사법처리를 바란다”고 말했다. 공공기관과 은행권에 만연한 것으로 확인된 특혜 채용비리를 거론한 것이다.
이 총리는 특히 “공공기관과 은행권은 청년들이 가장 선망하는 직장에 속한다”며 “직원 채용이 특별히 공정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어떤 은행은 속칭 일류대학 출신을 더 많이 합격시키려고 면접 점수를 억지로 얹어주었다고 한다”며 “우리 사회의 일류대학 카르텔을 얼마나 더 공고히 하려고 이런 작태를 벌였는지, 점수를 줘야만 합격할 정도의 일류대학 출신은 어디에 쓸 것인지 참으로 개탄스럽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총리는 그러면서 “금융권을 포함한 공공기관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 스펙을 보지 말고 실력과 업무 잠재력으로 채용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한 제도를 마련해 시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여당도 채용비리에 연루된 임직원을 즉시 퇴출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에 적극 호응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채용비리는 실력이 아닌 연줄로 타인의 기회를 빼앗은 범죄”라며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고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제도화하겠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전날 1190개 전체 공공기관의 채용비리를 점검해 80%에 해당하는 946개 기관에서 4788건의 채용비리를 적발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금융감독원도 국내 은행 11곳을 대상으로 채용비리 현장조사를 벌여 22건을 적발, 수사의뢰했다. 임원 면접에서 최고경영진의 친인척에게 최상위 점수를 주거나 명문대 출신 합격을 위해 다른 대학 출신의 면접 점수를 깎는 식이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이낙연 “채용비리는 중대 적폐”… ‘블라인드’ 도입 강조
입력 2018-01-30 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