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원 이례적으로 동시에
초당적으로 지지 결의안 발의
한국 국회서는 정쟁 이어가
미국 상원과 하원이 29일(현지시간) 평창 동계올림픽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각각 초당적으로 발의했다. 미 연방의회가 외국에서 열리는 올림픽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발의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상·하원이 한날 동시에 발의하는 것은 더욱 드문 일이다. 그만큼 88서울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또 다른 올림픽을 치르는 한국의 성공을 기원하는 미 의회 차원의 기대가 반영된 것이다. 정작 올림픽을 치르는 나라인 한국의 국회가 ‘평화올림픽’과 ‘평양올림픽’으로 맞서 대치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를 보였다.
평창 지지 결의안이 발의된 것은 미 하원이 먼저였다. 오전 하원 외교위에는 피터 로스캠, 마이크 켈리 의원(이상 공화)과, 제리 코널리, 아미 베라 의원(이상 민주) 등 4명이 발의한 결의안이 제출됐다. 미 의회 내 친한(親韓) 의원모임인 코리아 코커스 소속 의원들이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별도로 평창올림픽 지지 결의안을 준비하고 있던 상원도 서둘렀다. 코리 가드너 상원 외교위 아시아태평양 소위원장(공화)과 에드워드 마키 아태 소위 간사(민주)는 각 당의 지도급 인사들을 접촉해 공동발의 참여를 권했다. 몇 시간 만에 공동발의자는 전체 상원의원 100명 중 21명으로 늘어났다.
상원 결의안은 “평창올림픽이 평화와 안전의 올림픽이 되도록 미국이 동맹국으로서 최대한 지지한다”며 “미국과 한국은 ‘최대한의 압박과 관여’ 정책을 유지하면서 평창올림픽이 북한의 비핵화 대화 참여로 이어지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하원에 제출된 결의안은 평창올림픽에 대한 동맹국으로서의 지지와 공약을 재확인하면서 “평창올림픽이 전 세계의 평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반면 한국 국회에서는 30일에도 정쟁을 이어갔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현송월 여성 한 명이 내려와서 대한민국을 다 휘젓고 다니도록 하는 뒷바라지도 모자라서 이제는 그 뒷바라지 약속도 일방적으로 걷어차이는 문재인정부의 평창올림픽은 누구를 위한 올림픽이냐”고 따졌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韓 국회 ‘평창 정쟁’… 美 의회 초당적 ‘평창 지지’
입력 2018-01-31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