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해묵은 지역현안 지방선거 편승 여론전

입력 2018-01-30 18:39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주지역의 대형 현안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면서 소모적 갈등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분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다수 시민들은 “지방선거 쟁점화를 노리고 일각에서 느닷없이 여론전을 펴는 것 아니냐”며 싸늘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무등산 자연환경 보존 케이블카 설치 범시민운동본부’는 31일 무등산 케이블카 설치 발기인대회를 갖는다고 30일 밝혔다. 이들은 “누구나 국립공원 무등산을 탐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친환경 공법으로 케이블카를 설치하면 관광활성화는 물론 침체된 지역경제가 살아날 것”이라고 밝혔다. 부족한 관광자원을 확충하고 관광명소를 늘리는 차원에서 전남 여수와 경남 통영처럼 케이블카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운동본부는 시민 공청회와 여론조사, 서명운동 등을 통해 설치에 대한 공감대를 넓혀가기로 했다.

하지만 광주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세계지질공원 인증절차를 진행 중인 광주의 상징 무등산에 케이블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무등산 정상의 군부대 방공포대와 방송탑 등 기존 시설물을 깔끔하게 철거해도 부족한데 인공적 이동수단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최지현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탐방객으로 이미 포화상태인 무등산에 케이블카가 더해지면 환경훼손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무등산 케이블카는 2006년 당시 박광태 광주시장에 의해 처음 제기됐다가 시민단체들의 반발로 유야무야된 바 있다.

해묵은 광주 지하철2호선의 타당성 논쟁도 재점화되고 있다. 광주시가 지난해부터 민선6기 지하철2호선 착공을 구체화하자 ‘도시철도2호선 착공 반대 시민모임’은 지난 8일부터 광주시청 앞에 천막을 설치하고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시민활동가 40여명이 참여한 시민모임은 “두 칸짜리 지하철을 위해 2조30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을 수 없다”며 2호선 착공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시가 ‘구간 쪼개기’ 편법을 동원해 임기내 착공을 강행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당초 운천저수지∼월드컵경기장 4.5㎞에서 1단계 착공을 추진하던 시가 최근 2.89㎞로 공사구간을 쪼개 환경영향평가를 회피했다는 주장이다.

순환선으로 설계된 광주지하철 2호선은 1994년 기본계획 승인 이후 10년 넘게 착공여부와 노선이 공론화됐지만 찬반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해 행정적 재정적 낭비가 반복되고 있다. 민선 6기에서도 윤장현 시장이 한때 사업철회를 검토했다가 2년여에 걸친 ‘100인 시민위원회’의 논의과정 등을 거쳐 재추진이 최종 결정됐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