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와 서울시가 일자리 문제에 대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29일 오후 서울 중구 청년일자리센터에서 ‘청년 일자리 토크콘서트’를 열었다.
문재인정부 일자리 문제를 총괄하고 있는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청년 일자리 고통을 덜어줘야 하는데 생각만큼 빨리 (일자리가) 만들어지지 않아 잠 못 이루는 날이 많다”며 “문재인정부가 좋은 일자리 창출을 국정 최우선 순위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5일 문 대통령은 유관부처 장관을 불러 모은 자리에서 청년 일자리 정책 성과가 없다고 질책하며 2월에 종합 대책을 보고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참석해 “좋은 일자리가 한꺼번에 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힘든 과도기를 청년들이 잘 넘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서울시의 역할”이라며 “일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청년들이 고민하고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청년수당과 같은 지원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청년들은 단순히 일자리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는 구직·채용 과정에서 청년을 배려하고 중소기업의 근무조건과 환경을 개선하는 것 등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숫자에만 집중된 정부 정책에 쓴소리를 쏟아내며 인식의 전환을 촉구하기도 했다. 손한민 청년소사이어티 대표는 “청년이 구직을 하는 과정에서 을의 위치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며 “원하는 인재상에 대한 모호한 설명이나 정규직 전환 조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적혀있지 않는 등 기업 위주의 채용정보가 대부분”이라고 비판했다. 김민수 청년유니온 위원장은 “지금 청년들이 억대 연봉에 대한 기대가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근무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들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방청석에서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과 같은 가치가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의 기준이 되고 있다는 얘기도 나왔다.
이 부위원장은 서울시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청년 일자리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일자리는 지역에 있고 지방정부가 더 많이 알고 있다”며 “내가 여기 나온 이유도 바로 그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정부는 서울시의 뉴딜일자리정책과 청년수당 등 청년 일자리 지원 정책을 수용해 전국으로 확대한 바 있다. 박 시장은 “시민들, 청년들과 더 가까이 있는 지방정부에게 청년 일자리 대책을 발굴하는 기회를 주고, 중앙정부가 이를 전국화하는 방식의 역할분담이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청년들 “워라밸… 근무여건 개선해 달라”
입력 2018-01-30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