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부산에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만든다

입력 2018-01-29 19:23 수정 2018-01-29 21:24
손병석 국토교통부 1차관이 2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KT에서 4차 산업혁명위원회 회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위는 이날 기술 중심, 공공 주도의 스마트시티 정책에서 벗어나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사람 중심의 열린 도시를 위한 ‘스마트시티 7대 혁신 변화’를 추진하기로 의결했다. 뉴시스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으로 출퇴근 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지능형 CCTV가 범죄·화재 정보 등을 자동 신고해 사건사고를 줄일 수 있는 ‘스마트시티’가 세종과 부산에 건설된다.

향후 5년간 조성되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에는 도시설계 단계부터 시공까지 자율주행, 스마트에너지,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기술이 구현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9일 제4차 회의를 열어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세종시 연동면 5-1 생활권과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2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스마트시티에서 규제 샌드박스 등 과감한 규제개혁을 진행하고 연구·개발(R&D) 및 정책 예산도 집중 투입할 방침이다.

세종 5-1 생활권에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지능형전력계량시스템(AMI) 및 전력중개판매 서비스를 도입한다. 제로에너지단지 조성으로 주거비용을 줄이면서 지속 가능한 도시를 구현한다는 게 목표다. 자율주행 정밀지도와 C-ITS 등 스마트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특화도시, 재난 대응 AI 시스템 도입도 추진한다.

부산 에코델타시티에는 수변도시와 국제물류의 연계성을 기본으로 수열에너지 시스템, 분산형 정수시스템 등 혁신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 5G 프리 와이파이, 지능형 CCTV 등을 접목한 스마트 키오스크 단지, 지진·홍수 통합관리시스템도 구축한다.

위원회는 올 상반기 중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의 기본구상을 마련해 내년 상반기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2021년 입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위원회는 하반기 중 지자체 제안을 받아 시범도시 추가 선정 작업도 진행한다. 지방 혁신도시를 스마트시티 지역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스마트 혁신도시 선도모델’도 추진한다. 한국전력이 이전한 전남 나주의 경우 스마트에너지 모델, 도로공사가 이전한 경북 김천은 스마트교통 모델이 각각 검토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교통·안전·행정 등 도시문제 해결형과 환경·에너지·생활복지 등 비즈니스 창출형 등 2개의 국가전략 R&D 실증사업도 벌인다.

올해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하는 실증도시에는 각종 정보를 원활하게 생산·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허브모델이 개발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솔루션이 구현된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3년간 매년 4곳의 지자체를 선정해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시티 사업을 자체 발굴하도록 지원한다.

도시재생 뉴딜 지역에서도 스마트시티 기술로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스마트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진행된다. 올해에는 인천 부평, 조치원, 부산 사하, 포항, 남양주 등 시범지구 5곳에서 추진하고 이후에 매년 사업지를 지정한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