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크게 올랐다. 지속되는 북극 한파에 설 명절 특수, 최저임금 여파 등 여러 요인이 한꺼번에 겹치면서 물가가 전반적으로 뛰었다. 특히 꺾일 줄 모르는 강추위의 영향으로 채소와 생선 값이 급등했다. 2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오이 파프리카 풋고추 등 채소는 한 달 새 두 배 수준으로 폭등했다. 난방비 부담으로 인해 온실재배를 주로 하는 이들 채소 출하량이 대폭 감소한 것이 가격 상승의 주요인이었다. 생선 역시 영하 10도 이하의 강추위가 계속돼 조업일수가 주는 바람에 수급 차질을 빚었다.
과일 같은 설 특수품목까지 값이 들썩이고 커피 떡볶이 김밥 라면 설렁탕 짜장면 등 생활물가도 치솟고 있다. 또 세차비, 세탁비, 이·미용 서비스 요금이 오르면서 가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인건비, 임대료, 재료비가 모두 인상된데 따른 것이란 게 업주들의 설명이나 소비자들의 불만은 커질 수밖에 없다. 국제유가가 6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내는 등 글로벌 원자재값이 고공행진을 해 향후 물가 관리에도 근심이 깊다.
정부가 29일 ‘설 민생안정 대책’을 통해 배추 무 사과 계란 등 10대 성수품 공급 물량을 평소보다 1.4배, 사과 쇠고기 조기 등 15개 중점관리 품목은 2.5배 확대 공급키로 한다고 밝혔으나 수급 안정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해 공급량을 늘려나가야 할 것이다. 또 시장가격을 촘촘히 점검해 합리적인 선을 넘는 과도한 인상은 없는지 잘 살펴야 한다. 신선식품의 경우 유통 과정을 개선해 가격이 합리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근본적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
정부는 최근의 물가 오름세가 이전과 다른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점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 물건 값이 올라 소비자의 부담은 는 반면 상인의 소득은 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높다. 과거와 다른 가격 결정 이유가 생겼다는 얘기다. 최저임금과 임대료의 과도한 상승 탓이란 여론이 적지 않다. 정부는 물가 비상에 따른 후폭풍을 정밀 분석해 총력 대응해야 한다. 물가는 국민생활의 질을 가늠하는 척도다. 체감물가를 어떻게 다스리느냐가 정부 정책 전반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사설] 올라도 너무 오른 물가… 정부 대책 안이하다
입력 2018-01-29 17:33 수정 2018-01-31 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