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도시’ 부산이 원전해체산업 육성에 본격 나섰다.
부산시는 30일 시의회와 기장군, 연구기관, 대학, 산업계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원전해체산업 육성 협의회’를 출범한다고 29일 밝혔다. 협의회는 고리1호기 해체에 대비해 자치단체와 산·학·연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지역 원전해체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한다.
출범식에선 기관별로 원전해체산업 육성 계획을 발표하고 지역 원전해체산업 육성 정책을 주제로 토론회도 개최한다. 원전해체산업 육성계획에 따르면 시는 원전해체 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 네트워크 강화 사업을 하고 기장군은 원전 세계도시 초청 기장포럼을 연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남본부는 원전해체 기술개발 지원사업을 하며, 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는 원전해체용 레이저 절단기술 개발사업에 나선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원전해체산업 실태조사를 하고 부산대는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 초청 제염·해체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김기영 시 경제부시장은 원전해체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부산은 고리1호기 영구정지에 이어 2025년까지 고리 2·3·4호기의 설계수명이 순차적으로 만료돼 세계 최대의 해체 원전 밀집지역으로 부상하게 된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원전도시 부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대비 원전해체산업 육성 본격화
입력 2018-01-29 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