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조직위 “비인기·설연휴 입장권 사주세요” 막바지 요청

입력 2018-01-30 05:05
박원순 서울시장과 자치구청장들이 14일 강원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를 방문해 서울시 지원사항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뉴시스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이달 초 강원 평창 주사무소에서 서울시 관계자 7명과 면담을 갖고 “비인기·저녁시간대 경기종목, 설 연휴 기간 입장권을 추가 구매해 달라”고 요청했다.

조직위는 이 자리에서 “막바지 붐업을 위해 대대적인 홍보를 요청한다”고도 했다. 입장권 판매 목표량인 107만매 가운데 61%인 65만5000매 가량이 판매된 상황이었다.

29일 국민일보 취재 결과 서울 각 구는 조직위의 요청대로 설 연휴기간, 비인기 종목의 잔여 입장권 구매에 나서고 있다. 입장권 추가 구매에 드는 돈은 구마다 1억원을 상회하는데, 특별조정교부금이 쓰인다. 막바지 추가 홍보 재원도 투입됐다. 119안전센터의 소방·구급차량에도 ‘하나된 열정, 하나된 대한민국’이라는 스티커가 부착되는 식이다.

도의 경우 산하 시·군에 “평창 대회 입장권을 구매하지 못한 시·군에서는 가급적 1월 말까지 구매를 완료하기 바란다”는 공문을 최근 하달했다. 주인을 기다리는 입장권들은 컬링, 프리스타일스키, 바이애슬론 등 비인기종목이 대부분이다. 연휴 기간의 경기, 대한민국 선수가 등장하지 않는 경기도 추가 판매 대상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은 평창으로 향하는 버스에서 관람객들에게 경기 종목의 원리를 설명할 계획이다.

많은 지자체는 “버스 이동 시 평창올림픽 경기종목을 잘 아는 체육지도자가 동승해 지역 주민들이 흥미롭게 경기를 관람하고 돌아올 수 있도록 하라”고 조치했다. 입장권에 해당하는 경기종목의 사진과 규칙 설명 몇 줄을 A4용지 1페이지로 준비하기도 한다.

지자체가 공적 재원으로 사들인 입장권을 지역 주민에게 배부하는 일은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에 따라 가능해졌다. 선관위가 2016년 8월 “공직선거법상 허용된다”고 해석한 범위는 8만원 이하의 설상경기 입장권, 교통·식음료 편의제공이다.

선관위는 지난해 2월에는 입장권 구매를 위한 예산 수립 시기를 전년도에 미리 수립할 필요는 없다고도 안내했다. 지자체가 아닌 지자체장 명의로 주거나 숙박을 제공하는 것, 공직자에게 배부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항상 8만원 이하 입장권만 무료인 건 아니다. 150만원짜리 개회식 입장권도 ‘비용 처리’되는 경우가 있다. 강원도는 개회식에 초청할 해외 주요인사 88명에게 줄 입장권 1억3200만원어치를 구입했다. 올림픽 공식후원사들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요청에 따라 해외 주요 고객을 개회식에 초청하고 있다. 파트너십과 회사 기술력 홍보 등에 돈을 지불한다는 명분이다.

조직위는 “관중이 올림픽을 직접 경험하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라며 입장권 마케팅에 힘써 왔다. 애초 2016년 10월이었던 입장권 판매 개시는 지난해 2월로 한 차례 연기됐다. 홍보, 숙박시설 준비 부족이라는 것이 조직위의 설명이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문화체육관광부나 평창올림픽 시설 사업권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

조직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실시간 판매가 시작된 시기는 지난해 9월이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