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가 청와대 국민청원 등으로 사회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고 나서자 이단 단체들이 그 틈을 비집고 한국교회 비판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정부가 ‘이단 등 종교 문제에 관여할 수 없다’며 사실상 방관하고 있는 상황을 이단들이 교묘하게 악용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반사회적 종교집단인 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신천지)과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구 안상홍증인회), 박옥수 구원파 등은 최근 들어 대규모 집회 개최, 일간지 기사·광고 게재, 청와대 청원 등으로 세 과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신천지는 28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1만명을 동원해 ‘강제개종 교육금지법 제정촉구 집회’를 열었다. 신천지가 거리로 뛰쳐나온 건 최근 전남 화순에서 신천지에 빠진 구모(27·여)씨가 부모와 실랑이를 벌이다가 호흡곤란 후 사망한 사건 때문이다.
신천지는 이 사건을 확대해석해 ‘강제개종 목사들의 탐욕 때문에 살인사건이 발생했다’는 해괴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신천지를 ‘기성 교단에 속하지 않은 신흥종교’로 지칭하면서 “(강제개종 목사와 가족들이) 신도의 신체를 구속하고 신념을 강제로 바꾸기 위한 정신적 물리적 폭행인 강제개종 교육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신천지가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소통광장에 ‘강제개종 목사를 구속해 달라’며 올린 투표는 이날 오후 5시 현재 찬성 13만3900여 표로 반대보다 6000표가량 많다. 대부분 신천지 신도들이 동원돼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보인다.
신천지는 거짓말로 포교활동에 나서며 피해자들 사이에선 학업중단, 이혼, 가출, 직장포기, 가정불화 등 반사회적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육체영생(肉體永生) 신인합일(神人合一)을 주장해 신흥종교라기보다 사교(邪敎)에 가깝다. 게다가 피해자들은 시한부 종말론에 빠진 데다 사전에 신천지에서 이단상담을 거부하도록 철저히 세뇌당한 상태라 건전한 신념을 갖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임웅기 한국기독교이단상담소협회 광주상담소장은 “신천지 이단상담은 시작할 때 본인 동의가 필수이며 강제로 진행할 수 없다”면서 “이번 사건은 사이비 종교에 빠진 자녀를 구출하려다 우발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부모와 자식을 갈라놓은 쪽은 당사자인 피해자와 가족의 인생을 송두리째 망가뜨린 신천지”라고 지적했다.
신천지 탈퇴자인 A씨(36)도 “신천지가 교리에 자신이 있다면 강제개종 운운하지 말고 자유롭게 상담 받게 하면 된다”면서 “사이비 종교가 잘못된 교리로 신도들을 꽁꽁 옭아매 이런 불상사가 발생했다”고 안타까워했다.
신천지는 중앙일간지인 A신문에 이만희 교주의 인터뷰를 게재하고 지난 23일에는 다수 일간지에 ‘강제개종 목사를 처벌하라’는 광고까지 내는 등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과감한 방식으로 ‘커밍아웃’하고 있다. 하나님의교회와 박옥수 구원파도 지난해 9∼10월 대대적으로 일간지 홍보를 한 바 있다.
박형택 한국기독교이단상담연구소장은 “최근 신천지의 행보는 이만희의 후계자로 꼽히던 김남희씨가 신천지에서 이탈한 뒤 생긴 내분을 수습하고 조직을 정비하려는 시도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이단들의 공격적 전략에 한국교회는 연합기관을 중심으로 적극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진용식 한국기독교이단상담소협회장은 “‘가해자’ 신천지가 인권 자유를 앞세워 마치 ‘피해자’인 양 행세하고 있다”면서 “교계 연합단체와 교회는 철저한 이단 예방교육과 SNS 대응, 홍보물 배포 등으로 시민들에게 시한부 종말론 집단의 실체를 적극 알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글·사진=백상현 구자창 기자 100sh@kmib.co.kr
[활개치는 이단, 왜 지금인가 ③-끝] 신문 광고·집회·청와대 민원… 과감해진 공세
입력 2018-01-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