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5600억원… 트럼프 첫해 워싱턴에 뿌려진 로비자금

입력 2018-01-29 05:05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첫해였던 지난해 미국 정치권에 들어간 로비자금이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USA투데이는 지난해 기업과 이익단체들이 의회를 비롯한 워싱턴DC 정가에 33억4000만 달러(약 3조5600억원)의 로비자금을 투입했다고 정치자금 감시단체 CRP(Center for Responsive Politics) 발표를 인용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년보다 2억 달러(약 2133억원) 늘어난 금액이다.

미 상공회의소와 부동산중개인협회(NAR), 제약협회(PhRMA)가 로비 규모면에서 최상위권이었다. 금융재벌 조지 소로스가 설립한 열린사회재단(OSF)은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 없이 북한을 선제타격하지 못하도록 하는 로비에 자금을 사용했다.

개별기업의 로비도 크게 늘었다. 특히 구글은 역대 최고치인 1800만 달러(약 192억원)를 쏟아부었다. 최근 온라인광고 규제 움직임과 더불어 외국인 직원 고용과 직접 관련된 이민법 개정 흐름에 영향을 미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집권 초기 로비 규모가 느는 현상은 지난 정권에서도 있었다. 전임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선 1, 2년차인 2009년과 2010년 로비자금이 각각 35억 달러, 35억1000만 달러로 역대 최고치였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2년 전 대선 후보 당시 “워싱턴 정가와 뉴욕 월가의 로비스트들이 결탁해 부정부패를 일삼았다”며 당시 오바마 행정부를 공격했었다.

‘로비 청산’ 공약을 내세웠던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직후인 지난해 1월 백악관과 의회 공직자들이 퇴직 후 2년간 로비를 하지 못하도록 했던 걸 5년으로 늘리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그러나 현직 로비스트들에게는 별 제한을 두지 않아 결국 로비가 느는 걸 방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