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요양병원 487곳
긴급 소방특별조사 실시
경기, 다중이용시설 특검
광주, 복지시설·병원 점검
“지자체 점검·단속은 한계
시설·인력 근본 대책 필요”
29명의 사망자를 낸 충북 제천 화재 참사에 이어 38명의 목숨을 앗아간 경남 밀양 화재 참사까지 발생하자 지방자치단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각 지자체들은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취약시설 긴급점검 등 소방안전대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대구시는 요양병원 등에 대한 긴급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대구소방안전본부와 함께 지역 요양병원 등 487곳에 대해 긴급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한다. 또 소방서장이 요양병원 등을 직접 방문해 특별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올해부터 요양병원 등을 다수인명피해 우려대상으로 지정해 간부 책임담당제와 기능숙달도상훈련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등을 활용해 병원 종사자 체험교육을 확대할 방침이다. 27일 발생한 대구 신라병원 화재 현장에 권영진 대구시장이 찾아가 상황을 점검하는 등 화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경기도는 설 연휴대비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한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 2만5821곳 중 10%가량을 무작위 선정해 불시에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 주거용 비닐하우스와 컨테이너 하우스, 연면적 400㎡ 미만 소규모 숙박시설 등 3744곳을 특별조사한다. 특히 요양병원과 요양원 등을 각 소방관서별로 선정해 소방안전 현장 컨설팅을 실시하기로 했다.
광주시도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요양병원과 사회복지시설 102곳에 대해 긴급 안전점검을 벌인다. 특히 장애인시설과 요양병원은 점검 수위를 높일 계획이다. 부산시도 현행 재난대응 매뉴얼이 현장에서 바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병원과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불시 점검을 실시한다. 경북 안동과 전남 목포 등 다른 지자체들도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 점검·단속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질적인 소방시설 지원과 소방인력 확충·장비현대화, 법 개정 등의 근본적 변화 없이는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구보건대 최영상 소방안전관리과 교수는 “매년 소방안전점검과 단속이 이뤄지지만 현황 파악 정도 수준이어서 대형 화재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취약시설에 배연창과 미끄럼틀 형태의 비상용 탈출기구 등의 설치비용 일부를 지원해 초기 탈출이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한편 소방인력 확충과 장비현대화, 관련법 개정 등의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부산·수원=최일영 윤봉학 강희청 기자 mc102@kmib.co.kr
“제천·밀양, 남 일 아냐”… 지자체마다 ‘화재예방’ 비상
입력 2018-01-29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