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시39분 위기관리센터 가동
8시8분 文 대통령에 첫 보고
긴급 수보회의 열고 대책 논의
청와대는 2개월 만에 세 건의 대형 참사가 터지자 당혹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3일 인천 영흥도 앞바다 낚싯배 전복 사고를 시작으로 지난달 21일에는 충북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에서, 26일에는 경남 밀양 세종병원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청와대는 종합 재해대책을 부심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에 장시간이 소요될뿐더러 예산 등 현실적인 한계도 있어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가 재난 컨트롤타워임을 분명히 한 뒤 대형 사고 대응을 지휘해 오고 있다. 낚싯배 전복 사고 당시엔 청와대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찾아 구조작업을 지휘했고, 제천 화재 직후에는 직접 현장을 찾아 피해자 가족을 위로하고 후속 조치를 지시했다. 이날 세종병원 화재를 두고는 긴급 수석보좌관회의를 소집하고 이낙연 국무총리를 현장으로 급파했다. 필요할 경우 문 대통령이 직접 내려가겠다는 뜻도 밝혔다.
하지만 단기간에 참사가 반복되면서 실망감도 커지고 있다. 국민안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정부 역량이 역부족임을 국민들이 절감하기 때문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하루아침에 모든 국가 안전시스템이 완벽하게 변할 수는 없다”며 “사고는 날 수밖에 없다. 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정부가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행정적인 조치만으로 재해대책을 만들 수는 없다. 각 분야에서 실질적인 대책을 만들어 종합적인 측면에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천 화재 참사에서 드러난 소방 당국의 인력과 장비 확충 문제도 고민거리다. 청와대는 이에 대한 예산 배정 문제도 국회와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 7시39분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지휘 아래 국가위기관리센터를 가동했다. 이어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 참모진도 속속 도착해 상황을 지켜봤다. 문 대통령도 국가위기관리센터를 방문하려 했지만 화재 진압이 대부분 완료된 점을 감안해 집무실로 향했다. 문 대통령은 오전 8시8분 첫 보고를 시작으로 분 단위로 구조 상황을 보고받았다.
문 대통령은 대신 오전 10시45분 긴급 수보회의를 45분간 주재하며 후속 대응을 논의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회의 종료 후 10분 만인 오전 11시40분 춘추관을 찾아 문 대통령의 지시사항을 발표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국민들 안전 기대감 높은데… 잇단 참사에 靑 당혹
입력 2018-01-27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