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입시전문가 반응
논문 기여 여부 철저히 확인
연구윤리 전화위복 기회로
대학교수가 미성년 자녀를 논문 공저자로 끼워 넣은 사례가 82건에 이른다는 교육부 발표가 나오자 학계와 교육계는 이번 사태를 연구윤리와 입시 공정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입시에 활용한 고교생 공저자가 연구에 실제 기여하지 않았음이 밝혀질 경우 입시 공정성이 심각하게 훼손될 거란 우려도 컸다. 논문 끼워 넣기는 빙산의 일각일 뿐 수시전형을 위한 변칙은 더 다양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인재 서울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는 25일 “해외에서는 교신저자로 하여금 공동저자가 어느 정도까지 (논문에) 참여했는지, 자격을 충분히 갖췄는지를 충분히 확인하고 올리도록 하고 있다”며 제도적 미비점을 지적했다. 논문 공저자로 등록된 사람이 미성년자라는 점보다 실제 기여 여부를 확인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의미다. 엄창섭 고려대 연구진실성위원회 위원장도 “이런 문제들을 제기해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학생 연구를 장려할 수 있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입시 전문가들은 교육부가 연구부정이 실제 입시 부정으로 이어졌을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엄정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논문의 연구부정 검증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수시전형 확대에 맞춰 등장한 꼼수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많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논문의 경우 학생부 등에 기록할 순 없지만 자기소개서에는 얼마든지 넣을 수 있다”며 “공론화가 되지 않았을 뿐 변칙·기형적인 사례들이 얼마든지 벌어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연구소장도 “(미성년 자녀를)논문 공저자로 끼워 넣은 건 대학입시에 활용하기 위해서일 가능성이 높다”며 “해당 학생이 국내외 대학입시에 쓸 게 아니라면 논문 공저자로 참여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미성년 저자의 경우 소속기관과 학년을 표기하도록 하겠다는 교육부 방침의 실효성 여부에 대해선 의견이 갈렸다. 이 소장은 “이렇게 방침을 세우면 아무래도 (교수나 미성년 자녀들이) 주저하게 되고, 대학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이 교수는 “(이번 방침은) 일정 부분 필요한 조치”라면서도 “저자로서의 실질적인 자격이 있음을 확인하는 게 더 중요한데 이게 미성년자 표기만으로 구분되는 건 아니다”고 말했다. 학문 분야마다 연구윤리 기준이 다를 수 있다는 게 이 교수 생각이다. 그는 “‘연구자로서 실질적으로 기여한 사람만 기재한다’는 등 일반적 규정을 두고 나머지는 각 학술단체에서 자율적으로 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방법일 수 있다”고 말했다.
임주언 이택현 기자 eon@kmib.co.kr
“논문에 자녀 끼워넣기, 수시 노린 꼼수… 입시 공정성 훼손”
입력 2018-01-25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