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신용자에게 6∼10%대 적정 금리로 돈을 빌려주는 ‘중금리 대출’ 예산이 2022년까지 배로 늘어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5일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중금리 대출 활성화 추진 계획’을 발표하면서 “금융권이 우량고객 확보에만 몰두하고 서민에 대한 금융 지원에는 소홀했던 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3조5000억원이었던 중금리 대출 예산을 올해 4조2000억원, 2022년까지 7조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민간 금융시장의 중금리 대출 예산을 향후 4∼5년간 현행 2조7000억원에서 7조원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금융위는 5대 금융그룹(신한·KB·하나·NH·우리)과 인터넷은행, 저축은행·캐피털 등에 관련 인센티브나 경쟁 유인책을 제공할 방침이다. 정부는 중금리 대출이 계획대로 활성화되면 서민 70만명의 금리 부담이 연간 약 3500억원 줄어들 것으로 본다. 이와 함께 사잇돌대출의 공급 한도도 1조원 더 추가한다(2조1500억원→3조1500억원). 사잇돌 대출은 정부가 서울보증보험과 연계해 운영했던 중금리 대출상품이다. 또 사잇돌대출의 대출 심사기준과 소득요건도 올해 상반기 중 완화하기로 했다. 3분기에는 보증료율을 낮추고 대출한도(2000만원)를 늘린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
중금리대출 2022년까지 7조로 늘려… 70만명 혜택
입력 2018-01-25 18:42 수정 2018-01-25 2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