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눈에 착용하는 콘택트렌즈로 당뇨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박장웅 교수팀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변영재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이정헌 교수와 공동으로 당뇨병 예방과 진단이 가능한 ‘무선 스마트 콘택트렌즈(wireless smart contact lens)’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2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에 게재됐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의 이상으로 혈액 내 포도당 농도, 즉 혈당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 질환으로 각종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관리가 중요하다. 기존 환자들은 혈액을 채취해 혈당을 확인해야 했지만, 이번에 개발된 콘택트렌즈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물질을 기판으로 사용해 사람들의 거부감을 줄이면서 혈당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기판 위에 ‘고감도 포도당 센서’를 넣어 눈물 속 포도당 농도를 감지하고, 결과는 센서와 함께 장착된 LED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센서와 LED를 작동시키는 전기는 무선 안테나로 전달된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콘택트렌즈로 당뇨병 진단 기술 개발
입력 2018-01-25 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