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8번째 대북 독자제재… 원유 차단·금융 봉쇄 ‘가속’

입력 2018-01-25 19:17

北 원유공업성 포함 7곳, 선박 6척·개인 16명 특별제재

中 기업 2곳도 대상에 올려
美 재무 “중국·러시아서
금융네트워크 위해 일하는
북한 불법 행위자 추방해야”

美-러 외무, 북핵 문제 논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여덟 번째 대북 독자 제재를 발표했다.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남북 대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북 압박은 별도로 추진한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미 재무부는 24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연루된 중국 기업 2곳과 북한 기관·기업 7곳, 선박 6척, 개인 16명을 특별지정 제재 대상(SDN)에 올렸다. 지난달 26일 북한 미사일 개발의 주역인 이병철과 김정식을 제재한 지 약 한 달 만이자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여덟 번째 독자 제재다.

중국의 베이징청싱무역과 단둥진샹무역은 고순도 금속 물질을 제재 대상 북한 기업에 공급하는 등 최근 4년간 8700만 달러(약 921억원)어치의 물품을 거래한 이유로 제재 대상에 포함됐다.

북한 정부기관으로는 유일하게 원유공업성이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북한으로 들어가는 원유 공급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 기업으로는 선박회사 CK인터내셔널과 구룡선박회사·화성선박회사·금은산선박회사, 전자업체인 하나전자합영회사, 무역회사인 해양산업무역이 제재 명단에 올랐다. 선박은 구룡·화성·금은산·을지봉·은률·에버글로리다.

개인 16명은 모두 북한 사람이다. 이 중 박동석 조선연봉총무역회사의 조지아 압하지아 지사 대표는 북한 노동자들을 하브하지아로 배치하는 작업을 주도했다. 조선연봉총무역회사는 군수물자 획득을 담당하는 무역업체로 이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성명을 내고 “중국 러시아 등에서 북한 금융 네트워크를 위해 일하는 불법 행위자들은 모두 추방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 핵 문제를 논의했다. 틸러슨 장관은 라브로프 장관에게 유엔 안보리의 대북결의안을 모든 회원국이 긴급하게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라브로프 장관은 러시아와 중국이 제안한 북핵 해결의 외교적 로드맵을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러·중 로드맵’은 1단계로 북한이 핵·미사일 시험 중단을 발표하면 한·미 양국이 연합훈련을 축소하거나 중단하고, 2단계로 북·미 관계를 정상화하고, 3단계로 다자 협정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논의하자는 것이다.

한편 미국은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한·미·일 3국 정상급 회담 개최를 타진했다고 일본 아사히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아사히는 “평창 한·미·일 정상급 회담은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 협력을 재확인하려는 목적이 있다”면서 “그러나 북한이 반발할 것으로 보이며 한국이 난색을 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일본 언론은 특히 펜스 부통령과 아베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너무 성급한 대북 유화 정책을 펴지 못하도록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