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文 대통령 지지율 59.8%가 의미하는 것

입력 2018-01-25 18:49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60%대 아래로 떨어졌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22∼24일 15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는 전주보다 6.2% 포인트 하락한 59.8%를 기록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 포인트, 응답률은 6.1%다. 지난해 5월 취임 이후 최저치다. 연령대와 이념 성향, 지지 정당을 가리지 않고 하락했다. 더 큰 문제는 하락 속도다. 불과 3주 만에 10% 포인트 넘게 떨어졌다. 청와대는 지지율 변화에 일희일비하지 않겠다고 하지만 원인만큼은 차분하게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은 한 가지가 아닌 복합 요소가 작용한 결과다.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은 2030세대의 분노를 일으켰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은 자영업자는 물론 나라경제까지 걱정하게 만들고 있다. 유치원 방과후 영어수업 금지 등 어설픈 교육정책, 강남 아파트와 가상화폐를 둘러싼 정책 혼선은 국민들의 반감을 자극했다. 정책 혼선이 아니라 문제를 푸는 방식에 있어 전 정권과 다를 바 없다는 소리까지 나온다. 전·현 정권의 충돌로까지 확산된 적폐청산 작업은 피로감을 더해주고 있다. 분노가 2030세대를 넘어 40, 50대로 확산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지지율 고공행진에 고무돼 일방통행식 국정 운영을 하고 있는 건 아닌지 국민들이 경고음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민심은 냉혹하다. 한 번 등을 돌리면 되돌리기가 쉽지 않다. 민심의 지지가 있어야 개혁이 가능하다. 국민들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면 4년 이상 남은 임기 동안 국정 운영이 순탄할 리 없다. 민심의 변화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다. 민심은 기존 국정 운영 방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정권 출범 당시 보여주었던 초심을 되돌아볼 때가 됐다. 항상 자신을 낮추고 먼저 상대방의 목소리를 듣고자 했던 그때를 떠올려보길 바란다. 당위성만 앞세운 밀어붙이기는 거센 저항에 직면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쇼통’이 아닌 진정성 있고 세심한 국민과의 소통 노력이 요구된다.

이제는 슬로건이 아닌 정책의 성패를 결과로 보여줘야 하는 시기다. 다양한 집단의 이해가 상충되는 현안을 해결해내는 역량을 증명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정책의 방향성을 정교하게 가다듬어야 한다. 문재인정부의 정책들이 현장에서 왜 외면받고 있는지 냉정히 따져봐야 한다. “모든 국민에게 기회는 균등하고 과정은 공정하고 결과는 정의로운 나라를 만들겠다”는 취임사의 약속을 각종 정책으로 말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야당의 협조 없이는 입법을 통한 개혁 작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야당 지도자들과 만나는 자리를 마련해봄직하다. 야당의 목소리를 진정으로 경청하는 협치의 손을 먼저 내밀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