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탈원전론자라고 생각해 본 적 없습니다.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 쪽에 선 이유는 한 장소에 여러 원전을 짓는 것(다수호기)이 위험하다는 걸 강조하려던 것이었습니다.”
강정민(사진)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은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18년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자신에게 붙여진 ‘탈원전론자’ 꼬리표에 대해 이같이 해명했다.
강 위원장은 지난해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 과정에서 안전을 문제 삼아 건설 재개를 반대하는 전문가로 참여했다. 그런 탓에 지난 2일 원안위원장으로 취임한 뒤 원전을 찬성하는 쪽으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기도 했다.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가 진행된 이날도 원전 안전을 묻는 질문이 쏟아졌다. 강 위원장은 원전 사고를 소재로 한 영화 ‘판도라’를 본 소감을 묻는 질문에 “영화는 사실과 다른 점도 있지만 원전의 위험을 알리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원안위가 기술적인 기준을 넘어 과도하게 규제해 원전 운영자가 피해를 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원전이 안전하게만 운영된다면, 원전 운전을 지지할 것”이라고 했다. 강 위원장은 현재 다수호기 안전성 평가 연구가 진행 중이고 2020년에야 결과가 나온다고 덧붙였다.
올해 진행할 원안위 주요 업무도 소개했다. 우선 대규모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책임을 현재 부지당 5000억원에서 무제한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원자력발전소 인허가 등 원자력 안전 관련 정보를 공개해 정책결정 과정의 투명성도 높이기로 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전체회의의 표결요건이나 절차 등 의결방식을 명확히 규정하고 전체회의를 실시간 중계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원자력안전정보공개 및 소통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통해 정보공개 대상을 확대하고 원전지역 주민과 소통창구인 원자력안전협의회의 법적 근거도 확충하기로 했다.
강 위원장은 원전 안전기준 강화 등 안전규제 체계도 재정비하겠다고 강조했다. 가동원전을 대상으로 10년 단위로 진행하는 주기적안전성평가를 개선하기 위해 ‘원전 안전기준 강화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특히 경주, 포항 등 동남권 지진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원전의 내진설계기준 강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강정민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내가 탈원전론자라고요?”
입력 2018-01-24 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