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선거 바람’ 타나

입력 2018-01-24 18:15
지방선거를 앞두고 울산이 다시 술렁이고 있다. 10년 가까이 마무리를 짓지 못하고 있는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논의가 재점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이전과 재건축을 두고 내부 운영자들 간의 갈등으로 8년째 표류 중인 울산농수산물도매시장에 대한 현대화 방안 용역을 재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시와 학계 및 연구기관의 농수산물 유통전문가, 도매시장 법인 관계자 등으로 추진위를 꾸리고, 법인 간 의견이 조율되면 곧바로 용역에 착수할 방침이다.

시는 기존 용역 결과에 대해서는 백지화하기로 했다.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은 2010년부터 논의돼 2013년 박맹우 전 시장 당시 용역을 통해 이전 건립이 타당하다고 결론을 냈다. 이전 후보지를 남구 야음 근린공원 인근으로 정하고 예상 사업비 조달계획도 세웠다. 1571억원중 1000억원은 기존 농산물도매시장 부지를 매각해 충당하고 나머지는 국·시비를 확보해서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울산시는 2014년 민선 6기에 이 계획을 백지화 시켰다. 시의 의지도 부족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시장 내 5개 법인 중 1개 법인이 이전을 반대했기 때문이다. 극구 이전을 반대하는 법인의 대표는 현재 보수정당의 힘 있는 정치인이다. 그는 울산의 중심지이자 상권이 좋은 남구 삼산동의 현 부지를 쉽게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시장에 종사하는 대다수 상인들은 이전을 원하고 있다. 현 부지에 재건축하는 것은 투입되는 예산에 비해 효율성이 낮고 공사로 인한 종사자와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문제를 제기한다는 방침이다. 울산시당 관계자는 “농수산물도매시장의 현대화와 이전이 시급한데도 이를 가로막는 세력이 있다”면서 “이번 선거를 통해 적폐를 뚫고 특권과 반칙을 척결하겠다”고 강조했다.

1990년 3월 남구 삼산동 4만㎡의 부지에 지어진 농수산물도매시장은 기본적인 냉·난방 시설조차 갖춰지지 않은데다 건물이 노후화돼 안전상 문제가 심각하다. 판매장이 좁고 주차장도 열악해 도매시장으로서의 기능 약화에 따른 경쟁력 상실이 지적돼 왔다. 2001년부터 연평균 반입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청과물 1일 평균거래 규모가 공영도매시장 평균 거래량 보다 낮은 실정이다.

지역 업계의 한 관계자는 “농수산물도매시장은 유통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시설 노후화 등으로 이전과 함께 현대화 사업이 시급하다”며 “이번에는 시가 확고한 의지를 갖고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