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베 평창 참석, 한·일관계 회복 계기로 만들어야

입력 2018-01-24 18:51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4일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참석 의지를 피력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도 희망했다. 불참까지 시사했던 아베 총리가 급선회한 데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 개최국으로 이웃국가 올림픽에 불참할 경우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이 일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여겨진다. 일본 자민당 중진들과 미국 백악관의 요청도 영향을 미쳤다는 후문이다. 남북대화가 진전돼 한반도 정세가 급변하고 있는 점 역시 입장 변화에 한몫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베 총리는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합의에 대한 일본 입장을 확실히 전달하고 싶다고 했다.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철거 문제도 거론하겠다는 입장이다. 평창 참석에 대한 일본 내 반대 여론을 의식해 한층 더 강경 발언을 쏟아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양국 정상 간 입장차가 큰 만큼 만남이 성사되더라도 원론적인 이야기만 주고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색된 양국 관계가 일거에 회복되기를 기대하기란 현실적으론 쉽지 않다는 의미다.

일본의 입장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다. 우리가 합의를 따를 수 없다고 먼저 선언했기에 빌미를 제공한 측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일본이 합의문에 포함된 ‘불가역적 해결’이라는 문구를 문제 삼아 ‘1㎜도 움직일 수 없다’고 고집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 합의에는 일본의 불가역적 사죄도 포함돼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럼에도 위안부 존재를 부정하는 일본 유력 인사들의 망언은 계속되고 있다. 진정성 있는 사죄로 역사의 매듭을 풀어 나가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올림픽이라는 평화의 제전에 정치적 문제를 들고 오는 것 또한 신중을 기하길 바란다.

한·일 관계가 계속 과거 문제에 발목 잡혀 있어선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 양국 관계의 악화는 북핵 대처에 있어 한·미·일 공조를 흩트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첫술에 배부를 순 없다. 아베 총리의 평창 참석을 관계 회복의 계기로 만들어 나가는 정교한 외교력이 요구된다. 외교 경로를 통해 보다 차분하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위안부 합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일본의 변화를 이끌어 내야 한다. 양국 정상이 자주 만나 인식차를 좁히는 노력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