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MB)정부 시절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상납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당시 민간인 불법 사찰 의혹 폭로를 입막음하는데 이 돈이 쓰였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21일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을 불러 민간인 불법 사찰 폭로 당시 상황을 조사했다. 류 전 관리관은 민간인 불법 사찰과 증거인멸 지시를 폭로한 장진수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이 ‘관봉 5000만원’을 자신에게 전달한 사람이라고 지목한 인물이다. 류 전 관리관은 검찰 조사에서 당시 장석명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으로부터 돈을 받아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검찰 조사 때는 민정수석실 관련성을 부인했었다. 검찰은 이 같은 진술 등을 바탕으로 22일 장 전 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이들이 전달한 자금이 당시 청와대에 상납된 국정원 자금일 수 있다는 정황을 두고 자금 출처와 전달 경위 등을 조사하고 있다.
앞서 국정원 자금을 불법 수수한 혐의로 구속된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은 국정원에서 받은 5000만원이 민간인 사찰 관련자에게 쓰였다고 진술한 바 있다. 과거 2010년, 2012년 두 차례에 걸친 민간인 불법 사찰 관련 수사가 사실상 재수사 국면에 들어선 상황이다.
검찰은 민간인 사찰 외에도 불법 상납된 국정원 자금이 사용됐다고 의심되는 곳을 찾아 수사를 전방위로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최근 2012년 서울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의혹을 수사한 이광범 특검의 수사기록을 넘겨받아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의 부지 매입 자금, 전세자금 등 특검이 출처를 파악하지 못한 일부 자금 흐름을 다시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한편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자녀가 고가의 서울 강남권 아파트를 사면서 집값을 모두 현금으로 치른 정황을 포착하고 이 자금의 출처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여가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국정원 자금 수사와 관련해) 현재 굉장히 많은 자료를 가져다 보고 있다”면서 “아직 명확히 말할 단계는 아니다”고 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檢,'민간인 사찰 입막음' 류충렬 장석명 줄소환
입력 2018-01-21 18:52 수정 2018-01-22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