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전 의원 제기
“명품보다 더 큰 하자 있을 것
MB, 성명 때 매우 긴장한 듯”
MB측 침묵 속 상황 예의주시
이재오 “제왕적 대통령의
분노는 정의가 아니다” 비판
정두언(사진) 전 의원은 이명박(MB) 전 대통령이 당선됐던 2007년 대선 과정에서 “경천동지할 세 번의 고비가 있었다”면서 “그걸 처리하는 과정에서 돈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때 이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정 전 의원이 다시 ‘MB 저격수’로 나섰다. 그는 19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이 전 대통령 측이 대선 승리 이후 국가정보원의 특수활동비를 받아 은밀한 일에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정 전 의원은 국정원 특활비가 이 전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의 명품 구입에 사용됐다는 의혹에 대해 “그보다 더 큰 하자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선 과정에서 알 수 없는 일이 많이 벌어졌다”며 “고비가 한 세 번 있었다”고 말했다. 또 “그런 걸 헤쳐나왔지만 그 후유증이 대통령이 된 이후까지 갔다”며 “그 처리 과정에서 돈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천동지할 일들이 벌어졌지만 죽기 전에 말할 수 없다”고 함구했다.
정 전 의원은 이 전 대통령이 지난 17일 성명을 발표할 때 “MB답지 않게 매우 긴장했더라. 그런 모습 처음인 것 같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 전 대통령은) 검찰이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지 않는 것을 보고 놀란 것”이라며 “(김 전 부속실장이) 검찰에 협조했을 가능성에 당황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이어 “김 전 부속실장은 이 전 대통령의 그림자이고, 분신이고, 걸어다니는 일정표”라며 “(그러나) 이 전 대통령이 김 전 부속실장의 부인상에 가 보지 않았고, 조화도 보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정 전 의원은 TBS교통방송에 출연해선 이 전 대통령의 측근 관리에 대해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그런 스타일”이라고 비판했다. 정 전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명박정부도 국정원 특활비 수수 의혹에 대해 자유롭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이틀째 침묵 기조를 이어가며 상황을 예의주시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이 장기전 태세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측근은 “이 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의 분노 발언에 대응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린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나 측근들은 문 대통령 발언에 대한 비판을 감추지 않았다. 다른 측근은 “문 대통령이 분노라는 표현을 쓴 것은 사실상 검찰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고,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가 정치보복이라는 점을 여실히 드러낸 것”이라며 “현직 대통령이 분노를 느끼는 사안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릴 검사들이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친이(친이명박)계 좌장이었던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대표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제왕적 대통령의 분노는 정의가 아니다”며 “먼저 표적을 만들고 온갖 기획을 해서 사람을 잡아가려고 하는 것이 정치보복이 아니면 한국어사전에 정치보복이라는 낱말은 지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MB, 대선 때 경천동지할 세 번의 고비… 수습 비용 필요”
입력 2018-01-19 18:53 수정 2018-01-19 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