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MB 대응 하루 새 급변
정쟁 우려 자제하다 티타임서 반전
“盧죽음, 거론은 도 넘어” 분노 폭발
“우리 정부 자존심 깔아뭉갰다”
중대성 고려 文대통령 직접 총대
수사 가이드라인 작용 논란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치 보복’ 성명에 대한 청와대의 대응이 하루 만에 180도 바뀌었다. 성명이 발표된 17일만 해도 청와대는 공식 대응을 내놓지 않았다. 하지만 하루가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의 고강도 비판 발언이 공개됐다. 이 전 대통령의 성명이 국민적인 적폐청산 열망으로 출범한 문재인정부의 자존심을 짓밟았다는 판단이 내려졌다고 한다.
전날 이 전 대통령의 성명이 예고되자 청와대 내부에서는 ‘측근 구속에 대한 책임감을 언급할 것 같다’는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까지 거론하며 ‘정치 보복’을 주장하자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새어나왔다. 이 전 대통령이 현 정부의 정당성을 폄훼하면서까지 보수 결집을 유도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다만 실무진 차원에서는 공식 입장을 내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정쟁(政爭)으로 비화될 경우 정치적 부담이 커지고, 검찰도 곤혹스러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주재한 오전 티타임 회의에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문 대통령은 참모진의 보고를 받은 뒤 부당한 지적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반박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모진은 청와대 차원의 별도 입장문을 내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사안의 중요성을 판단해 문 대통령의 발언을 공개하는 것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전 대통령이 정치 보복을 언급한 것은 문재인정부의 집권 배경, 국정 운영 기조에 대한 우리의 자존심을 깔아뭉개는 것”이라며 “우리가 마치 박근혜정부 청와대처럼 특정 검찰 수사를 지시·기획한다는 식으로 말했는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검찰 수사 과정에서 이 전 대통령을 포함한 이명박정부 고위층의 혐의가 어느 정도 입증된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현재는 정쟁으로 비칠 수 있지만, 검찰 수사가 진전되면 이 전 대통령 측 입지가 급격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통령이 직접 정쟁의 당사자가 되는 정치적 부담을 감수한 채 문 대통령이 직접 나선 것도 이러한 관측을 뒷받침한다.
여권 주변에서는 이 전 대통령의 정치 보복 발언 파장과 검찰 수사에 대한 ‘계산’이 끝난 것 아니냐는 얘기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검찰 수사 가이드라인 논란도 불가피해 보인다. 청와대가 검찰 수사를 지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문 대통령의 발언 자체가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검찰 입장에서 문 대통령의 분노를 외면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문 대통령이 ‘분노’라는 표현을 사용한 건 지난해 9월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처음이다.
청와대는 다만 문 대통령의 발언이 검찰 수사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청와대가 검찰 수사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말라고 하는 게 국민의 명령”이라며 “문재인정부가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을 주기 위한 꼼수는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글=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사진=이동희 기자
[전-현 대통령 정면충돌] 역린 건드린 MB… ‘분노의 文’ 열다
입력 2018-01-18 19:23 수정 2018-01-18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