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혁신창업 활성화 방안으로 내세우고 있는 혁신모험펀드(이하 혁신펀드) 조성이 본격 추진된다. 올해 2조6000억원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총 10조원 규모의 혁신펀드를 조성해 벤처기업의 창업·성장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동연 부총리 주재로 제2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혁신펀드 조성·운영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2020년까지 공공부문에서 총 3조7000억원을 우선 출자할 방침이다. 산업은행과 산업은행캐피탈이 공동으로 3년간 1조8000억원을 출자하고, 모태펀드 등에서 회수되는 재원을 혁신펀드로 이전한다. 그리고 이를 마중물 삼아 민간자금 6조3000억원을 매칭해 혁신펀드 10조원을 채운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민간자금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약정된 기준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이 발생하면 민간투자자에게 초과수익의 일정비율을 추가적으로 배분한다. 또 민간투자자는 공공부문 출자지분의 최대 50%를 매입할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부여할 계획이다.
혁신펀드는 ‘혁신창업펀드’와 ‘성장지원펀드’로 나뉜다. 2조원 규모의 혁신창업펀드는 창업초기기업에 중점 투자할 방침이다. 나머지 8조원 규모의 성장지원펀드는 성장·성숙 단계에 들어선 벤처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게 된다.
혁신펀드와 연계한 보증·대출 프로그램도 도입된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은 향후 3년간 혁신펀드 투자기업 중 유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보증부대출을 우대 지원한다. 또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시중은행 등은 혁신펀드 투자기업의 인수합병(M&A), 사업재편 등을 지원하는 총 20조원 규모의 대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세종=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10조 혁신펀드, 올해 우선 2조6000억 만든다
입력 2018-01-17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