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9일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이산가족 상봉의 전제조건으로 탈북 여종업원 송환 문제를 직접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14일 “북측은 그동안 방송 등을 통해 여종업원 송환을 계속 요구해왔고, 지난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도 그런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 교도통신은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회담을 하려면 2016년 4월 중국의 북한 음식점에서 탈출한 여종업원들의 송환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우리 정부가 집단 탈북한 여종업원 12명과 북송을 요구하는 탈북민 김련희씨를 강제 억류하고 있다며 이들의 송환을 남북관계 개선과 연계해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우리 정부가 지난해 7월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회담을 제의한 이후에도 이런 입장을 고수했다. 정부로선 본인 의사로 한국에 온 탈북민을 공식적으로 북송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북측 주장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런 이유로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나온 공동보도문에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회담 종료 후 브리핑에서 “북측 나름대로 갖고 있는 사정과 입장이 있기 때문에 좀 더 논의하면서 풀어나가자는 선에서 얘기가 됐다”고 설명한 바 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北, 이산가족 상봉 조건으로 ‘탈북 여종업원 송환’ 직접 거론
입력 2018-01-14 2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