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계속 고조되는 미국의 경제압박 조치에 대해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을 공식 경고하고 나섰다. 최근 중국 당국이 미국 국채 매입 중단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와 맞물려 실제 중국과 미국 간 ‘무역 전쟁’이 빚어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이 일방적인 무역보호 조치를 취할 경우 중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2일 보도했다. 가오 대변인은 “자국 법과 규칙에 근거한 미국의 대중 무역조사는 국제무역의 틀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며 미국 통상법 301조에 근거한 대중 지적재산권 침해 조사를 겨냥해 비판했다.
가오 대변인은 또 “양국의 무역불균형은 상이한 경제구조와 산업경쟁력, 국제노동 분업의 결과이며 중국은 결코 무역흑자를 추구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해 1∼11월 미국과의 무역에서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한 2510억 달러(약 267조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신화통신도 지난 3일 ‘미국의 무역 압박은 조절이 필요하다’는 논평에서 “미국이 자기만의 길을 간다면 중국의 보복 조치가 테이블 위에 오를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중국의 보복 조치와 관련해 블룸버그는 지난 10일 중국이 미국 국채의 매입 축소나 중단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외환보유고는 3조1000억 달러(약 3317조원) 수준이고 이 중 미 국채가 1조2000억 달러(약 1278조원)다. 미 국채의 전체 규모 14조5000억 달러(약 1경5439조원) 중 단일국가 보유액으로는 가장 많다. 중국이 국채 매입을 중단하면 미국에는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11월 중국산 일반 합금 알루미늄 판재에 대한 반덤핑관세(AD) 및 상계관세(CVD) 자체 조사에 착수했다. 미국은 이어 중국의 ‘시장경제(MES) 지위’ 부여 요구도 거부했다. 이 지위가 부여되면 유리한 관세를 적용받게 된다. 미국은 또 중국 알리바바그룹 자회사가 미국 송금서비스 기업 머니그램 인터내셔널을 인수하는 것도 불허하는 등 최근 대중국 견제수위를 높이고 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무역 충돌’ 전운 감도는 美-中
입력 2018-01-1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