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스닥시장 활성책
3000억 규모 펀드도 조성
연기금 등 기관 투자 확대
문턱 낮춰 벤처 젖줄 육성
정책 기대감 코스닥 17P↑
앞으로 코스닥 벤처펀드에 투자하는 개인은 최대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는다. 한국거래소 등 증권 유관기관은 3000억원 규모 펀드를 만들어 저평가된 코스닥 기업 투자를 늘린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코스닥시장 활성화 방안’을 확정·발표했다. 김 부총리는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통해 혁신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앞으로 개인투자자가 1인당 최대 3000만원을 투자할 경우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코스닥 벤처펀드가 나온다. 혜택 대상이 되는 벤처펀드의 요건을 완화해 해당 상품 출시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가 코스닥 차익거래를 목적으로 주식을 매도하면 증권거래세(0.3%)를 면제해준다. 코스피와 코스닥 종목을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증권지수도 만든다. 증권 유관기관은 3000억원 규모의 ‘코스닥 스케일업(Scale-up) 펀드’를 조성해 저평가 코스닥 상장기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에 주는 세액공제 혜택을 코스닥 상장 중견기업으로 확대한다. 세액공제율도 현행 30%에서 40%로 늘린다.
코스닥시장 활성화는 문재인정부의 ‘혁신성장’ 정책과 맞닿아 있다. 정부는 그간 코스닥시장이 ‘혁신·창업기업의 젖줄’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고 본다. 창업기업은 원리금 상환 부담 때문에 은행 대출로 자금을 조달하는데 한계가 있다. 기업공개(IPO)를 통한 증시 상장,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금 확충 등을 이루려면 자본시장이 활성화돼야 한다.
하지만 코스닥 상장, 유상증자 등을 통한 기업 자금조달 규모는 지난해 5조원 정도에 머물렀다. 이런 방식의 기업 자금조달 규모가 1999년에 4조5000억원이었는데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줄어든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정부의 활성화 방안 발표에 힘입어 전 거래일보다 17.60포인트 오른 852.51로 장을 마쳤다. 다만 금융투자업계에선 ‘정부 대책 기대감’이 이미 코스닥지수에 많이 반영된 상태라 추가 상승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코스닥 벤처펀드 투자 땐 최대 300만원 소득공제
입력 2018-01-12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