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술로 만든 세계 최초의 LTE급 철도통신시스템이 2027년까지 전 노선에 구축된다. 고속철도 터널에서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탑승객 휴대전화로 상황별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정보시스템도 마련됐다.
국토교통부는 국가 연구·개발(R&D)을 통해 개발한 철도통신시스템(LTE-R)을 일반·고속철도 전 노선에 설치하기 위해 2027년까지 총 1조1000억원을 투입하는 ‘LTE-R 구축계획’을 수립했다고 10일 밝혔다. 철도통신시스템은 안전하고 원활한 철도운영을 위한 철도종사자 간 의사소통시스템이다.
국토부는 고속·대용량 정보전송이 가능한 4세대 통신기술인 LTE를 사용하면 통신단절이나 혼선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SR(수서발 고속철도 운영사)은 최근 ‘대심도 터널에서 탑승자 대피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을 확보하고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을 구축하면 터널 내 탈선, 화재 등으로 열차가 비상 정차할 경우 통합정보시스템(예약발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탑승 고객 휴대전화에 상황별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하면 해당 스마트폰 와이파이를 강제 활성화시켜 승객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SR은 테스트를 거쳐 3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세종=서윤경 기자
LTE급 철도통신시스템 2027년까지 전 노선에 적용
입력 2018-01-10 18:53 수정 2018-01-10 2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