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안보 분야 집중
경제·사회 분야는 거의 없어
매체 쏠림현상 지적도
문재인 대통령의 10일 신년 기자회견은 대통령이 직접 질문자를 지명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생동감은 있었지만 사전 의제조율이 없어 중복 질문이 많았고, 주요 정책 질문을 하지 못하는 부작용도 지적됐다.
청와대는 정치·외교안보 6개, 민생경제 4개, 사회·문화 분야 2개의 질문을 받겠다고 공지했다. 막상 기자회견에서는 질문자 17명 중 14명이 정치·외교안보 분야를 질문하는 등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남북·북핵 문제 질문이 6건이었다. 지방언론 등이 지방분권과 연관된 개헌 문제(3건)를 물었고, 한·일 위안부 합의 관련 2건, 협치·UAE 갈등·대통령 소통 문제가 1건씩 나왔다.
경제·사회 분야 질문은 쪼그라들었다. 경제 분야에선 최저임금과 경제전망 질문이 각 1건이었고, 국민적 관심이 높은 부동산 문제 질문은 나오지 않았다. 사회·문화 분야에서도 문 대통령 지지층의 ‘악플’(악성 댓글) 질문만 1건 나왔다. 부동산 문제나 적폐청산, 한·미 연합 군사훈련 연기·축소 관련 질문을 준비한 기자가 많았지만 지명받지 못했다. 일부 기자는 지명을 받기 위해 평창 동계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 인형을 흔들기도 했다.
매체별 불균형도 있었다. 국내 언론 기자 167명(125개사), 외신기자 46명(32개사) 등 213명이 참여했는데 질문자는 17명, 그중 지방언론 기자가 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신 3명, 중앙일간지 2명, 종합편성채널 2명, 지상파 방송·전문지·경제지·통신사 각 1명이었다. 1시간에 불과한 기자회견 시간을 늘리거나 사전에 공통 질문을 모아 답변한 뒤 질의응답하는 개선안도 거론된다. 문 대통령은 기자회견 후 청와대 구내식당에서 오찬을 하면서 “새로운 형식인데 기자들이 짜임새 있게 잘 질문했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文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첫 대통령 지명식 회견… 생동감 있지만 중복 많고 중요 정책 빠져
입력 2018-01-10 18:21 수정 2018-01-1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