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회담] 南 “비핵화 대화 재개하자”… 北, 별 반응 없이 ‘경청’

입력 2018-01-09 19:20 수정 2018-01-09 19:24

대북 제재·개성공단 등
북측 명시적 언급 안해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우리 정부는 북한에 한반도 비핵화 등 평화 정착을 위한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어렵게 성사된 남북대화 의제를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 해결 등 역내 평화 구축을 위한 논의로 확대하겠다는 의사를 강조한 것이다.

우리 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9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린 고위급 회담 전체회의 기조발언에서 “상호 존중의 토대 위에서 협력하면서 한반도에서 상호 긴장을 고조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며 “조속히 비핵화 등 평화 정착을 위한 대화를 재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의 발언은 평창올림픽 논의로 시작된 남북대화를 지속·발전시켜 한반도 비핵화라는 어려운 과제 해결을 시도하자는 제안으로 해석된다. 취임 이후 한반도 평화와 남북협력을 위한 남북 간 접촉과 대화를 강조해 온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구상’과도 궤를 같이한다.

북측은 조 장관의 제안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은 “우리 측의 기조발언에 포함된 내용에 대해 북측은 특별히 언급하거나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고 경청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천 차관은 ‘북한이 대북 제재 완화나 개성공단 재개 등에 대해 언급했느냐’는 질문에 “명시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남북대화 시작 단계에서 나온 우리 측의 원론적인 언급인 만큼 핵심의제로 다뤄지지는 않았다. 북측 역시 조 장관의 언급을 일축하거나 반박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진지하고 성실한 대화 자세를 보였다는 게 우리 측 평가다.

조 장관의 언급으로 비핵화 문제 등이 당장 남북대화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은 거의 없다. 조 장관의 발언은 남북대화가 궁극적으로는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 역시 핵 문제를 주제로 남측과 설전을 벌이기보다 언급을 자제하는 방식으로 대화 국면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보였다는 평가들이 나온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