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뉴타운사업 대안으로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이 주택재개발·재건축보다 고용창출효과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연세대학교 김갑성 도시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서울역 일대와 세운상가, 창신·숭인 3개소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한 결과 8만8693명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8일 밝혔다. 도시재생사업은 건설 중심이 아닌 경제·사회·환경적 해결방안을 종합적으로 마련해 지역문제를 해결한다는 취지의 도시관리방식이다. 도시재생사업 일자리 유발 효과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분석이 이뤄진 서울역 일대와 세운상가는 지난해 5월과 9월 각각 ‘서울로 7017’ ‘다시세운 프로젝트’ 1단계 사업이 마무리된 지역이다. 창신·숭인의 경우 수도권 지역 중 유일한 정부도시재생선도지역으로 뉴타운이 해제된 지역에 주거·경제·문화 통합 도시재생을 추진하고 있는 곳이다.
8만8693명 중 직접고용효과는 5132명이었지만 간접고용효과는 8만3561명이었다. 간접고용효과에는 해당 지역이나 인근 지역에서 업종변경이나 신축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용유발효과가 포함됐다.
토목건축 위주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10억원을 투자했을 때 고용창출효과는 8.7명(2016년 한국은행 고용유발계수 기준)이지만 도시재생 고용유발효과는 21명으로 2.5배 이상 높았다. 김 교수는 “단순 비교는 어렵겠지만 도시재생은 건설단계에서 발생하는 일자리는 물론 운영·관리 단계에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직접고용효과를 보면 건설 단계 일시적 일자리(2387명)보다 건설 이후 운영 단계에서 생겨나는 지속적 일자리(2745명)가 많았다. 사업별로는 1200억원을 투자해 중림동과 서계동, 회현동 일대를 종합 재생하는 만큼 서울역 일대 재생사업이 5만4228명으로 고용유발 효과도 가장 컸다. 1000억원이 투입된 세운상가 고용유발효과는 3만4074명으로 분석됐다.
인구감소, 고령화로 쇠퇴한 지역을 살리는 유형의 ‘근린재생형’ 재생지역인 창신·숭인 지역은 고용유발효과(391명)는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청년 유입과 상권 회복으로 일자리 유발효과가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주민·공공 협업에 따른 지역 활성화, 관광유발효과까지 고려하면 일자리 유발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시는 올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전 지역(131곳)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도시재생, 재개발·재건축보다 고용창출 효과”
입력 2018-01-09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