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표단 이동 경로 등 다룰 듯
이산상봉·개성공단 문제 등
나머지 현안은 의견 교환 수준
제안·수락 신속… 절차도 간소화
남북 수석대표 확정 못했지만
장관급 회담 될 것이란 전망 지배적
남북이 오는 9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문재인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얼굴을 맞댄다. 박근혜정부 시절인 2015년 12월 개성에서 차관급 회담이 열린 지 2년 만이다. 회담에서는 평창 동계올림픽 북측 대표단 구성과 이동 경로, 교통편, 숙소, 경비, 안전보장 등 실무적인 문제가 우선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이산가족 상봉과 군사당국회담,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등 남북관계 현안도 언급될 수 있으나 구체적 합의가 나오기보다는 의견 교환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도 평창올림픽 관련 논의부터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5일 “평창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하는 게 우선순위이고 나머지 문제는 부수적인 것”이라며 “일단 올림픽 참가 문제가 마무리되고 매듭 지어져야 남북 관계 개선과 관련된 논의들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해서도 논의할 것이 많다. 이것이 우선적으로 진행돼야 다른 문제도 논의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회담 준비는 과거보다 훨씬 간소화됐다. 제안과 수락 절차가 이례적으로 신속했던 탓이다. 2015년 차관급 회담 때는 2주 전에 실무접촉을 갖고 회담 장소와 의제, 격 등을 논의했다. 의제에서 입장차가 벌어져 조율에 무려 11시간이 걸렸다. 반면 이번 고위급 회담은 일자와 장소, 의제가 이미 확정돼 있다. 남은 것은 회담 개시 시간과 수석대표의 격, 대표단 명단 정도다. 이 정도면 직접 만나지 않고 문서 교환만으로 충분하다는 게 양측의 판단이다. 남북은 회담 조율을 위해 주말에도 남북 연락관 채널을 가동하기로 합의했다.
통일부는 북한의 전화통지문이 도착한 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조명균 장관 주재 전략회의를 열었다. 실제 회담장 상황을 상정한 모의회담도 진행하고 있다. 통일부 직원이 북측 대표의 대역을 맡아 회담을 진행함으로써 상대방 전략을 예측하고 우리 측 약점을 보완하는 절차다. 통일부와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 간 조율도 이뤄지고 있다. 문체부는 고위급 회담 합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조치를 진행하기 위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북한 역시 다음 주 중 IOC와 접촉할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은 이날 판문점 연락관 채널 마감시간까지 수석대표를 확정하지 못했다. 다만 현재 흐름상 조 장관과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나서는 장관급 회담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 경우 우리 측은 조 장관과 함께 김남중 통일부 정책실장과 문체부 등 관계부처 실국장급 인사가 배석한다. 서울에서는 김의도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이 회담을 실시간으로 지켜보며 전체 상황을 관리한다. 북측은 조평통과 국가체육위원회, 노동당 통일전선부 등에서 배석자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전략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수석대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놓고 관계부처와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회담 진행 방침과 관련해 “기본적으로 평창올림픽에 북측이 참가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이라면서 “남과 북이 오랜만에 마주앉는 자리고 당국 간에 고위급 협의가 이뤄지는 만큼 양측 상호 관심사항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성은 문동성 기자 jse130801@kmib.co.kr
9일 첫 회담, 北 올림픽 참가 우선 논의… 현안은 ‘그 후’
입력 2018-01-05 19:17 수정 2018-01-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