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점 찾은 파리바게뜨… 사측, 해피파트너즈 자회사化 수용

입력 2018-01-06 05:02

한노총 제안한 절충안 급부상
합작사 ‘해피파트너즈’서 협력사 배제
본사 지분율 51%이상으로 높여

직접고용 부담 덜고 고용 안전 강화
민노총 소속 제빵사 반대가 변수
최종 타결까진 갈 길 남아


제빵기사 불법파견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파리바게뜨 노사가 절충점을 찾았다. 본사가 과반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를 설립해 제빵기사를 고용하는 안이다. 그간 직접고용안과 합작회사안을 두고 평행선을 달렸던 노사가 한발씩 양보한 것이다. 그러나 민주노총 소속 제빵기사들이 절충안을 반대하고 있어 최종 타결까지는 협의가 더 필요하다.

5일 파리바게뜨와 한국노총 등에 따르면 파리바게뜨 본사는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3차 노사 간담회’에서 자회사를 설립해 제빵기사를 고용하는 안을 노조 측에 제안했다. 이는 지난 3일 열린 2차 노사 간담회에서 한국노총 측이 제시한 안이다.

그동안 사측은 본사와 가맹점주, 협력업체 3자가 합작한 ‘해피파트너즈’를 설립해 제빵기사를 고용하겠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한국노총은 합작회사에서 협력업체를 배제하고, 본사가 지분 51% 이상을 보유할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합작회사인 해피파트너즈의 자회사화(化)를 요구한 셈이다. 직접고용 부담은 덜어주되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을 높여 본사의 제빵기사 고용 안정과 처우 개선 책임을 더 무겁게 하자는 취지였다. 사측이 이를 수용하면서 사태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은 셈이다.

한국노총 안으로 협상이 최종 타결되면 그동안 불거진 ‘노노(勞勞) 갈등’ 역시 일단락될 가능성이 크다. 직접고용 대상인 5309명의 제빵기사들은 그동안 저마다 다른 해법을 제시해 왔다. 일부는 직접고용을 포기하고 대신 해피파트너즈에 채용됐다. 지난 2일 기준으로 해피파트너즈를 택한 제빵기사는 3946명이다. 이들은 한국노총과 민주노총과는 별개의 ‘제3노조’를 설립하기도 했다. 반면 민주노총에 소속된 제빵기사들은 본사의 직접고용안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한국노총은 이 가운데서 절충안을 제시했었다.

다만 최종 타결까지 남은 과제는 여전히 많다. 절충안에 반대하는 민주노총 측은 이날 간담회에서도 회의 결렬을 선언하고 먼저 간담회장을 빠져나갔다. 직접고용안에서 한발 물러서 자회사 설립안을 받아들인다고 해도 현재 사측이 설립한 해피파트너즈와는 완전히 별개의 자회사를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민주노총에 가입된 제빵기사는 700여명이다. 절충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이들을 제외한 제빵기사만 자회사에 고용되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 고용노동부가 이에 대해 1인당 1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사측이 이에 소송으로 대응할 경우 불법파견 사태의 최종 해결은 더 지연될 수 있다.

제빵기사 처우 개선 수준 역시 노사 간 협의가 필요한 지점이다. 사측은 기본급 13% 인상과 상여금 인상 등 개선안을 내놨지만 한국노총은 직접고용 수준에 준하는 처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세종=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