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화창구는 ‘조평통’… 파트너로 ‘통일부’ 지목

입력 2018-01-05 19:18 수정 2018-01-05 23:56

이선권 위원장 주도… ‘격’ 논란은 없을 듯
전통문 ‘대한민국’ ‘文 대통령’ 호칭 눈길


북한의 남북관계 통로는 대남기구인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로 굳어진 모양새다. 이선권(오른쪽 사진)조평통 위원장이 지난 3일 조선중앙TV에 등장해 판문점 연락통로를 개통하라는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지시를 전하며 전면에 나섰다. 북한이 5일 보낸 전통문도 조평통 위원장 명의였다.

북한은 조평통의 대화 맞상대로 통일부를 지목하고 있다. 조평통은 고위급 남북 당국회담 제의를 수락하는 내용의 전통문에서 수신 대상을 ‘대한민국 통일부 장관 조명균(왼쪽)’이라고 적었다. 통일부 관계자는 조평통의 카운터파트에 대해 “북한은 (당이 국가보다 위에 있는) 당국가체제이기 때문에 우리와 다른 점이 있다”며 “북한이 전통문에서 조평통 위원장과 통일부 장관 명의를 사용한 부분 등을 감안해 실무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남북회담 창구로 조평통을 내세운 것은 처음이 아니다. 과거 노동당 통일전선부 외곽단체인 조평통이 통일부의 대화 상대가 될 수 있느냐는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북한은 2013년 6월 개성공단 문제 등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당국회담에서 통일부 장관 상대로 조평통 서기국장을 내보내겠다고 주장하다가 결국 회담을 무산시킨 적도 있다. 다만 북한은 2016년 6월 최고인민회의에서 조평통을 국가기구로 격상시킨 만큼 이번에 비슷한 논란이 재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북한은 전통문에서 ‘남조선’ 대신 ‘대한민국’이라는 표현을 썼다. 과거 정부에서도 북한은 전통문에서 대한민국 호칭을 쓰긴 했지만 문재인정부 들어서는 처음이다. 북한은 지난 3일 남북 판문점 채널을 복원한다고 발표하며 처음으로 ‘문재인 대통령’이라는 호칭을 사용한 바 있다. 이전에는 ‘남조선 당국자’ 등의 표현을 사용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