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달라지는 서울복지’] 서울시 노인요양시설에 ‘치매전담실’ 설치

입력 2018-01-04 21:44
서울시가 올해 노인요양시설에 치매환자만을 위한 독립공간인 ‘치매전담실’을 처음으로 설치한다. 또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과 사회 적응을 돕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5곳을 추가로 개소한다.

서울시가 4일 발표한 ‘2018년 달라지는 서울복지’에 따르면, 서울시내 노인요양시설에 치매전담실 14개소가 신설된다. 치매전담실은 치매환자만을 돌보는 공간으로 기존 노인요양시설에 비해 넓은 1인당 침실면적을 확보하는 등 치매환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전문인력을 배치한다.

서울시 복지본부 관계자는 “치매환자는 동선이나 침실면적 등에서 일반 환자들과 다른 환경이 필요하다”면서 “그동안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치매환자를 일반 환자들과 함께 수용해왔는데, 치매전담실이 생기면 치매환자만을 위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는 오는 3월 관악·강동·도봉·종로·성북구에서 추가로 문을 열어 총 10곳으로 확대된다. 장애인가족지원센터도 기존 5개소에서 연내 13개소로 늘린다.

50세 이후 세대의 인생 2막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 상담, 일자리, 커뮤니티 등을 지원하는 기관인 ‘50플러스 캠퍼스’(광역형)와 ‘50플러스 센터’(지역형)도 추가로 설립된다. 3월에 남부캠퍼스가 개관해 50플러스 캠퍼스는 3개소로 늘어나고, 서대문과 성북 지역에 센터가 새로 생겨 50플러스 센터는 총 6개소가 된다.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 사업은 올해 60개 동주민센터가 추가로 참여해 강남구를 제외한 24개 자치구 402개 전 동으로 확대된다. 찾동은 동주민센터에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를 배치해 65세 이상 노인가구, 출산가정, 빈곤·위기가정 등을 직접 방문해 건강과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생활은 어렵지만 정부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서 탈락한 사람들을 지원하는 ‘서울형 기초보장제도’도 문턱을 더 낮춘다. 대상자 선정 기준이 중위소득 40%에서 43%로, 금융재산 2000만원에서 3000만원 이하로, 부양의무자 소득기준(4인 기준) 651만4000원에서 736만6000원으로 완화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