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받은 특수활동비 36억여원을 비선진료비와 통신비, 사저 관리비, 의상비 등 개인적 용도에 쓴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최순실씨 등 측근과 연락하기 위해 사용한 대포폰과 기치료·운동치료와 주사, 서울 삼성동 사저 관리에 3억6500만원가량을 썼다. 국정원 특활비는 이재만(구속 기소)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안봉근(구속 기소) 전 국정홍보비서관,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을 통해 전달됐고 이영선 전 행정관이 직접 결제했다.
박 전 대통령은 3명의 비서관들에게도 약 9억7600만원을 용돈처럼 나눠줬다.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린 이들은 활동비 명목으로 월 300만∼800만원씩 총 4억8600만원을 받았다. 휴가나 명절에도 1000만∼2000만원씩 총 4억9000만원을 따로 챙겼다.
박 전 대통령 전용 의상실 운영비 6억9100만원 중 일부도 국정원 특활비에서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최씨는 2016년 9월 독일로 도피하기 전까지 매달 현금 1000만∼2000만원을 의상실 운영비로 지불했다.
검찰은 이 전 비서관을 상대로 박 전 대통령에게 매달 2000만∼1억2000만원이 든 쇼핑백을 직접 전달했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현찰로 움직인 데다 박 전 대통령과 최씨가 조사 자체를 거부해 전체 국정원 특활비의 용처는 파악하지 못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양석조)는 4일 박 전 대통령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국고손실, 업무상 횡령 혐의로 기소했다. 박 전 대통령은 임기 초인 2013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남재준(구속 기소) 이병기(구속 기소) 이병호 전 국정원장으로부터 매달 5000만원에서 2억원씩 총 36억5000만원을 상납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박 전 대통령 지시로 이병호 전 원장이 2016년 6∼8월 이원종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전달한 1억5000만원도 뇌물수수액에 포함됐다.
검찰은 청와대 정무수석실이 2016년 총선에 앞서 실시한 진박(진짜 친박) 감별용 여론조사 비용 5억원을 국정원 자금으로 지급하는 과정에도 박 전 대통령이 관여했는지 추가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정무수석 재임 시절 매달 500만원씩 상납 받은 조윤선 현기환 전 정무수석도 순차적으로 기소할 방침이다. 불구속 수사를 받고 있는 이병호 전 원장과 이헌수 전 국정원 기획조정실장도 곧 재판에 넘겨질 것으로 보인다. 이병기 전 원장으로부터 1억원을 상납 받은 혐의가 있는 최경환 자유한국당 의원은 이날 구속됐다.》관련기사 11면
신훈 기자 zorba@kmib.co.kr
朴 전 대통령, 국정원 특활비로 기치료·의상실비 지급
입력 2018-01-04 19:18 수정 2018-01-05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