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의 해수담수화 시설이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 갈등으로 가동 중단 위기를 맞고 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4일 기자회견을 갖고 “기장해수담수화 시설운영에 대해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며 “국토부가 올해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 등 국책사업으로 건립된 기장해수담수화 시설 가동을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 시장은 “정부가 기장해수담수화 사업을 포기하는 것인지, 포기한다면 기장 앞바다가 청정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인지 답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2000억원에 달하는 국민혈세가 투입된 기장해수담수화 시설이 흐지부지된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국가의 책임”이라며 “시는 정부 차원의 해결책을 강력히 요구하며 정부가 정상화를 위해 노력한다면 시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적절한 운영을 위해 시간을 두고 법리 및 절차상의 검토를 해왔을 뿐 시설가동을 외면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당시 R&D(연구개발)혁신사업으로 선정돼 추진된 기장해수담수화 시설은 국비 1500억원 등 2000억원의 사업비로 2014년 완공됐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의 여파로 인근 주민들이 수돗물 공급반대 등을 주장하면서 4년째 통수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연간 30여억원에 달하는 유지·관리비를 국토부와 두산중공업, 부산시 등이 부담해왔다. 그러나 올해 국토부 예산에 유지·관리비가 한 푼도 반영되지 않자 시설관리를 맡은 두산중공업은 최근 인력을 철수시켰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기장해수담수화 2000억 혈세 수장 되나
입력 2018-01-04 19:46